(이대희) MATLAB을 활용한 보 처짐 계산과 3D 시각화
(이대희) MATLAB을 활용한 보 처짐 계산과 3D 시각화
Beam Deflection Calculation and 3D Visualization Using MATLAB
MATLAB을 활용한 보 처짐 계산과 3D 시각화
기계공학과 3학년 이대희
Solid mechanics is a field of applied mechanics focused on analyzing the behavior of solids under various loads. Its main goal is to determine the stress, strain, and displacement in structural components. Beam deflection analysis is especially important for structural design and safety assessment but can be complex and challenging to solve analytically. MATLAB, with its strong numerical and visualization capabilities, offers an efficient way to approach such problems. This seminar calculates and visualizes the deflection of simply supported and cantilever beams using MATLAB to support easier understanding and analysis.
고체역학은 평형 상태에서 여러 종류의 하중을 받는 고체의 거동을 해석하는 응용역학의 한 분야로, 구조물과 그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응력, 변형률 및 변위를 구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특히 보 구조에서의 처짐 해석은 실제 구조물의 설계와 안전성 평가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해석은 수식이 복잡하고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이론적으로 계산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MATLAB은 공학 분야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과 수치해석 기능을 제공하는 강력한 대화식 프로그램이다. 본 세미나는 단순보와 외팔보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른 처짐량을 MATLAB으로 계산하고 그래프로 시각화함으로써, 구조 해석 문제를 더 쉽게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5.08.01
(김관우) 폭설 시 비닐하우스 형상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 평가 및 보강 방법 적용
Structural Safety Evaluation and Reinforcement Method Application for Greenhouse Shapes under Heavy Snowfall
폭설 시 비닐하우스 형상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 평가 및 보강 방법 적용
기계공학과 3학년 김관우
Vinyl greenhouses are widely used by many farmers due to their low installation costs and ease of construction. However, unexpected heavy snowfall each year has caused significant damage to agricultural facilities, with annual losses exceeding 300 billion KRW. Notably, approximately 78% of this damage is attributed to structural collapses caused by heavy snow. As temporary structures, vinyl greenhouses are required to meet disaster-resistance standards set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ccordingly, research on structural safety assessments and reinforcement methods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Nevertheless, there is a lack of studies that apply reinforcement structures to commonly used greenhouse types and analyze the resulting structural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ompare four commonly used greenhouse shapes, identify optimal reinforcement points to minimize displacement for each type, and determine the model that exhibits the smallest overall displacement.
비닐하우스는 설치 비용이 저렴하고 시공이 간편하여 많은 농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온실 구조물이다. 그러나 매년 예상보다 많은 적설량으로 농업인들이 많은 피해를 보고 있으며, 해마다 연간 3천억 이상의 대규모 피해가 반복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피해의 약 78%는 폭설로 인한 구조물 붕괴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비닐하우스는 가설 구조물로서 농업진흥청에서 제시한 내재해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이를 위한 구조 안전성 평가 및 보강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다만, 실제로 널리 사용되는 구조물에 보강 구조를 적용하고 그에 따른 구조적 거동을 분석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4가지 비닐하우스 형상을 대상으로, 각 형상별 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보강 지점을 도출하여 분석 비교하고 가장 변위가 작은 모델을 도출하고자 한다.
2025.07.11
(김수민) 유전 알고리즘 기반 단순 모델의 점접촉부 위치 최적화: 기존 연구의 문제점 개선
Optimization of Point Contact Region in a Simple Model Using a Genetic Algorithm
: Improvement of Issues in Previous Studies
유전 알고리즘 기반 단순 모델의 점접촉부 위치 최적화
: 기존 연구의 문제점 개선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김수민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washing machines, ensuring consistency between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is essential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finite element analysis. However, it is often challenging to accurately represent the contact regions in the washing machine during simulation, which leads to reduced correlation between analysis and experimental. To address this issu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improve correlation by optimizing the contact point region. For optimization to be effective, the problem formulation must be appropriately defined, as it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performance of the optimization process. This study applies various problem formulations to a simplified model and compares the results to determine the most suitable formulation. Accordingly, the goal of this seminar is to present the different problem formulations used in the contact point region optimization of a simplified model and analyze their outcomes.
세탁기 개발 과정에서 유한요소해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해석 결과와 실험 결과 간의 정합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해석에서는 세탁기 접촉부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정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접촉부 위치를 최적화하여 정합성을 개선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적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문제 정식화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단순 모델을 기반으로 다양한 문제 정식화를 적용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가장 적절한 정식화를 선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세미나는 단순 모델 기반 접촉부 위치 최적화에 적용된 문제 정식화 방식과 그 적용 결과를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5.07.04
(이대희) 차량 구동축 직경비에 따른 안전율별 경량 설계 연구
Tendency Analysis of Weight by Safety Factor According to Diameter Ratio of Automotive Drive Shaft
차량 구동축 직경비에 따른 안전율별 경량 설계 연구
기계공학과 3학년 이대희
In the automotive industry, lightweight desig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o improve fuel efficiency and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drive shaft, a key component that transmits engine power to the wheels, contributes to overall vehicle weight reduction when optimized. This study analyzes effective stress and safety factors by sett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drive shaft as a variable. It evaluates structural stability and lightweight potential based on changes in diameter ratio. A simulation model applying material properties and boundary conditions is used for analysis. The ultimate goal is to enhance fuel efficiency through optimized lightweight design.
자동차 산업은 화석 연료 가격 상승과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차량 연비 향상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연비 향상을 위해 차량 구동축에 대한 경량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구동축은 일반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진 회전 부재이며,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과 회전 운동을 바퀴나 기계의 작동 부위로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구동축은 구조적으로 필수 부품이므로 대량 생산 시 전체 차량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연구 모델을 선정하여 물성치와 경계 조건 등을 적용하여 내경을 파라미터로 설정하고 유효 응력을 확인할 것이다. 또한 유효 응력을 통해 경량화 목적에 따라 안전율 기준에 적합한지 확인할 것이다. 따라서 구동축의 내경을 파라미터로 설정하고, 직경비에 따른 안전율 분석을 통해 경량 설계를 도출하여 차량 연비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2025.06.13
(이한규) GUI 기반 진동 시험 지그의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 개선사항
Development of an automated program for optimal design of a jig for a GUI-based vibration test: Program improvements
GUI 기반 진동 시험 지그의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 개선 사항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이한규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is a graphical system that allows users to interact with programs intuitively. It has the advantage of real-time confirmation of input and output, error detection, and visualization of results, allowing easy handling of complex functions. Using this GUI environment, an optimal design automation program for a vibration test jig was developed, and the program ran without any functional problems. However,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intuitiveness and user convenience. Therefore, this seminar aims to share the main points of improvement and the execution process of the program.
Graphical User Interface (GUI)는 사용자가 프로그램과 직관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그래픽 기반 시스템이다. 입력과 출력의 실시간 확인, 오류 감지, 결과 시각화 등의 장점을 통해 복잡한 기능도 손쉽게 다룰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GUI 환경을 활용하여 진동 시험용 지그의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한 바 있으며,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는 기능적 문제 없이 동작하였다. 그러나 직관성과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세미나는 이를 개선한 주요 사항을 공유하고,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을 공유하고자 한다.
2025.06.05
(최영중) 일반기계기사이해와 전략적 준비방법
Understanding the Role of a Mechanical Engineer and Strategic Preparation
일반기계기사이해와 전략적 준비방법
기계공학과 4학 최영중
The Mechanical Engineer certification is a national qualification that assesses the essential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required in the field of mechanical engineering. It serves as a key benchmark for evaluating professional competence and job performance in the industry. To successfully obtain this certification, it is crucial to hav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exam structure and effective study strategies. Therefore, this seminar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Mechanical Engineer exam, including its structure, main subject areas, and strategic preparation methods, to help participants prepare efficiently and achieve their certification goals.
일반기계기사는 기계공학 분야에서 실무와 이론에 필요한 역량을 평가하는 국가자격시험이다. 이는 기계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직무 수행 능력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로 활용된다. 본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시험의 구성과 학습 전략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세미나는 일반기계기사 시험의 소개, 구성, 주요 과목, 학습 전략에 대해 제시하여 효과적으로 자격증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5.05.30
(김수민) 유전 알고리즘 기반 단순 모델의 점접촉부 위치 최적화 : 최적화 효율 향상을 위한 문제 정식화 변경
Optimization of Point Contact Region in a Simple Model Based on Genetic Algorithm
: Modification of Problem Formulation to Enhance Optimization Efficiency
유전 알고리즘 기반 단순 모델의 점접촉부 위치 최적화
: 최적화 효율 향상을 위한 문제 정식화 변경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김수민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washing machines, ensuring consistency between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is essential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finite element analysis. However, it is often challenging to accurately represent the contact regions in the washing machine during simulation, which leads to reduced correlation between analysis and experimental. To address this issu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improve correlation by optimizing the contact point region. For optimization to be effective, the problem formulation must be appropriately defined, as it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performance of the optimization process. This study applies various problem formulations to a simplified model and compares the results to determine the most suitable formulation. Accordingly, the goal of this seminar is to present the different problem formulations used in the contact point region optimization of a simplified model and analyze their outcomes.
세탁기 개발 과정에서 유한요소해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해석 결과와 실험 결과 간의 정합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해석에서는 세탁기 접촉부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정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접촉부 위치를 최적화하여 정합성을 개선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적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문제 정식화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단순 모델을 기반으로 다양한 문제 정식화를 적용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가장 적절한 정식화를 선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세미나는 단순 모델 기반 접촉부 위치 최적화에 적용된 문제 정식화 방식과 그 적용 결과를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5.05.30
(백종혁) MATLAB을 이용한 유전알고리즘 코드 소개
Introduce the Genetic Algorithm Using MATLAB Code
MATLAB을 이용한 유전알고리즘 코드 소개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백종혁
Genetic Algorithm is widely us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methods for searching for optimal design solutions. Our lab has also developed various modules based on genetic algorithm and conducted research. However, in order to accurately understand genetic algorithm and effectively apply it to research, learning about the implementation method and application procedure in the MATLAB environment should be done first. Therefore, in this presentation, we will introduce a method of applying genetic algorithm using MATLAB. Through this, we expect that lab members will be able to more easily utilize genetic algorithm in future research.
유전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은 최적설계 해를 탐색하는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실에서도 유전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다양한 모듈을 개발하고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그러나 유전알고리즘을 정확히 이해하고 연구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MATLAB 환경에서의 구현 방식과 적용 절차에 대한 학습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표에서는 MATLAB을 활용한 유전알고리즘 적용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연구실 구성원들이 향후 연구에 유전알고리즘을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5.05.23
(최준원) 국내 논문 작성 방법
How to Write Research Paper in Korean
국내 논문 작성 방법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최준원
This seminar aims to share key principles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writing a research paper effectively, with a focus on Korean academic contexts. It outlines the logical structure of a paper, including how to construct an engaging introduction, a reproducible methodology, and a coherent discussion. Emphasis is placed on sentence clarity, structural flow, and common writing pitfalls that affect the overall quality of academic work. By highlighting both theoretical insights and real examples, this session provides practical guidance to help participants write research papers that meet academic standards and publication requirements.
본 세미나는 효과적인 연구 논문 작성을 위한 핵심 원칙과 실질적인 전략을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서론, 재현 가능한 방법론, 그리고 일관된 논의를 구성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논문의 논리적 구조를 설명합니다. 문장의 명확성, 구조적 흐름, 그리고 학술 연구의 전반적인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글쓰기 방법에 중점을 둡니다. 본 세미나를 통해 참가자들이 학문적 기준을 충족하는 연구 논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
2025.05.23
(이한규) 아인슈타인의 광속 불변의 법칙 탄생 배경
Background of the Birth of Einstein's Law of
Constancy of the Speed of Light
아인슈타인의 광속 불변의 법칙 탄생 배경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이한규
Modern engineering technology is constantly becoming faster and more precise, and is often faced with phenomena that cannot be explained by simple classical mechanical analysis alone. For example, GPS positioning errors require compensation for time delays caused by differences in relative speed and altitude between the satellite and the ground, and the theory of relativity is used in practice to solve this. In addition, signal transmission delays in high-speed sensors require an understanding of signal speed (the speed of light) for accurate distance calculation. These physical concepts ar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peed of light is always constant, that is, the law of constancy of the speed of light. Therefore, this seminar will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logic behind the law of constancy of the speed of light,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theory of relativity. If you take an interest in physical mechanics and study it, you are expected to be able to design more accurate and stable systems.
현대 공학 기술은 고속화와 정밀화를 거듭하면서, 단순한 고전역학적 해석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현상에 자주 직면하고 있다. 예를 들어 GPS 위치 오차는 위성과 지상 간의 상대적 속도와 고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시간 지연을 보정해야 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대성이론이 실무에 사용된다. 또한 고속 센서의 신호 전달 지연은 정확한 거리 계산을 위해 신호 속도(빛의 속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물리적 개념들은 빛의 속도가 항상 일정하다는 가정, 즉 광속 불변의 법칙을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본 세미나는 상대성이론의 출발점인 광속 불변의 법칙이 어떠한 이론적 배경과 논리 속에서 도출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계기로 물리역학에 관심을 가지고 학습을 하게 된다면,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시스템 설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5.05.16
(김관우) 적설하중을 고려한 비닐하우스 구조의 안정성 향상 방안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Greenhouses Considering Snow Loads
적설하중을 고려한 비닐하우스 구조의 안정성 향상 방안
기계공학과 3학년 김관우
Greenhouses are widely used by many farmers due to their low installation costs and ease of construction. However, they are structurally very vulnerable and can easily collapse under external loads. Damage to greenhouse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occurs every year, with 64% of the damage attributed to heavy snowfall. Although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as developed and distributed disaster-resistant greenhouse models to prepare for natural disasters, cases of structural failure continue to be reported annually. Moreover, the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s is expected to increase due to climate change. Therefore, this seminar aims to explain the loading and boundary conditions used in structural analysis to evaluat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greenhouses, and to shar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비닐하우스는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시공성이 우수하여 많은 농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다만, 외부 하중에 쉽게 붕괴되는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한 구조물이다. 자연재해로 인한 비닐하우스의 피해는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대설에 의한 피해가 64%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농촌진흥청에서는 자연재난에 대비한 내재해형 비닐하우스 모델을 개발 및 보급하였으나, 매년 파손 사례가 나오고 있다. 또한 기상이후로 인한 자연재난 발생이 향후에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비닐하우스의 구조해석을 통해 구조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하중조건 및 구속조건을 설명하고 추후 연구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2025.05.16
(이대희) 선행 연구를 통한 반복 하중에 따른 차량 구동축의 경계 조건 분석
Analysis of vehicle drive shaft boundary conditions under repeated loads through prior research
선행 연구를 통한 반복 하중에 따른 차량 구동축의 경계 조건 분석
기계공학과 3학년 이대희
A drive shaft is typically a rotating member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that transmits power and rotational motion in various types of machinery and mechanical equipment. However, drive shafts are constantly subjected to repetitive loads, which can lead to failure over time. In order to predict the lifespan and ensure the safety of components such as drive shaft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boundary conditions through finite element analysis (FEA). The setup of boundary conditions directly affects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results. Therefore, this seminar aims to analyz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rive shaft analysis and derive applicable boundary conditions to enhanc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analysis model.
구동축은 일반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진 회전 부재로 다양한 용도의 기계 및 기계 장비에서 동력과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사용된다. 하지만 구동축은 지속적으로 반복적인 하중을 받아 파손이 될 수 있다. 구동축과 같은 부품은 수명 예측 및 안전성을 위해 유한 요소 해석을 통한 경계 조건이 필요하다. 경계 조건의 설정은 해석 결과의 정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세미나는 구동축 해석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적용 가능한 경계 조건을 도출하여 해석 모델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2025.05.16
(백종혁) 가변 그리드를 이용한 진동 시험용 최적설계 모듈 개발: 고정 그리드 모델
Development of an Optimal Design Module for Vibration Testing Using Variable Grids: Fixed Grid Model
가변 그리드를 이용한 진동 시험용 최적설계 모듈
개발: 고정 그리드 모델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백종혁
As headlamp vibration test jigs become larger, it is becoming more difficult to design them to meet the target natural frequency and mass. Accordingly, our laboratory is currently developing an optimal design program for vibration test jigs. However, the existing optimal design requires a large number of design variables and execution time because the optimal design is performed in several stages, such as the main rib and the reinforcing rib. To compensate for this, we plan to compress the optimal design stage and reduce design variables by utilizing a variable grid. This seminar aims to share the code and results for the top height optimal design module in a fixed grid prior to the variable grid optimal design.
헤드램프 진동 시험용 지그는 헤드램프의 대형화로 인해 목표 고유진동수 및 질량을 충족하는 설계가 어려워 지고 있다. 이에 우리 연구실 에서는 진동 시험용 지그 최적설계 프로그램을 제작 중에 있다. 다만 기존 최적설계는 메인리브, 보강리브 등 여러 단계에 걸쳐 최적설계가 수행되어 많은 양의 설계 변수 및 수행 시간이 소요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가변 그리드를 활용하여 최적설계 단계 압축 및 설계 변수 감소를 하고자 한다. 본 세미나는 가변 그리드 최적설계에 앞서 고정 그리드에서 상단 높이 최적설계 모듈에 대한 코드 소개 및 결과를 공유 하고자 한다.
2025.05.02
(김수민) 유전 알고리즘 기반 단순한 모델의 점접촉부 위치 최적화
Optimization of Point Contact Region in
a Simplified Model Based on Genetic Algorithm
유전 알고리즘 기반 단순한 모델의 점접촉부 위치
최적화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백종혁
As headlamp vibration test jigs become larger, it is becoming more difficult to design them to meet the target natural frequency and mass. Accordingly, our laboratory is currently developing an optimal design program for vibration test jigs. However, the existing optimal design requires a large number of design variables and execution time because the optimal design is performed in several stages, such as the main rib and the reinforcing rib. To compensate for this, we plan to compress the optimal design stage and reduce design variables by utilizing a variable grid. This seminar aims to share the code and results for the top height optimal design module in a fixed grid prior to the variable grid optimal design.
헤드램프 진동 시험용 지그는 헤드램프의 대형화로 인해 목표 고유진동수 및 질량을 충족하는 설계가 어려워 지고 있다. 이에 우리 연구실 에서는 진동 시험용 지그 최적설계 프로그램을 제작 중에 있다. 다만 기존 최적설계는 메인리브, 보강리브 등 여러 단계에 걸쳐 최적설계가 수행되어 많은 양의 설계 변수 및 수행 시간이 소요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가변 그리드를 활용하여 최적설계 단계 압축 및 설계 변수 감소를 하고자 한다. 본 세미나는 가변 그리드 최적설계에 앞서 고정 그리드에서 상단 높이 최적설계 모듈에 대한 코드 소개 및 결과를 공유 하고자 한다.
2025.05.02
(최준원) 진동 시험용 지그의 최적설계를 위한 GUI 기반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단순화 모드
Development of a GUI-based Automated Program for Optimal Design of Jigs for Vibration: Simple Mode
진동 시험용 지그의 최적설계를 위한 GUI 기반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단순화 모드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최준원
Automotive head lamps have different shapes depending on the vehicle, requiring the development of a new type of jig for vibration testing with each new design. Designing jigs that meet vibration test conditions is challenging, requiring expertise and significant time. A GUI-based automated program was developed to address this issue. Although the program is developed for non-expert users, it still requires knowledge of optimization. Therefore, this seminar aims to implement a simple mode of a GUI-based automation program for the optimal design of a vibration test jig and share its operating process.
차량용 헤드램프는 차량 마다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새로운 디자인이 출시될 때 마다, 해당 형상에 맞는 맞춤형 진동 시험용 지그를 새롭게 개발해야 합니다. 다만, 진동 시험 조건을 충족하는 지그 설계는 전문적인 지식과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UI 기반 자동화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비전문가를 위해 개발되었지만, 최적화에 대한 지식이 여전히 필요합니다.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진동 시험 지그의 최적 설계를 위한 GUI 기반 자동화 프로그램의 간단한 모드를 구현하고 그 작동 과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2025.04.25
(배정빈) 차단력 기반 시험과의 해석 정합성 향상을 위한 진동 해석 기법 연구
Vibration Analysis Method for Enhanced Test–Simulation Correlation Using Blocked Force
차단력 기반 시험과의 해석 정합성 향상을 위한 진동 해석 기법 연구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배정빈
Vibration analysis is a method used to understand the dynamic behavior of a structure under various loads that change over time or frequency. In particular, it plays a critical role in verifying design feasibility during the early stages of product development and helps reduce both cost and development time. To achieve reliable vibration analysis, it is essential to model the real-world conditions accurately and fully captur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vibration source and the structure. In order to simulate vibration responses that closely reflect reality, realistic joint conditions must be established. Therefore, this seminar proposes an analysis technique based on the blocked force method that enables quantitative prediction of the dynamic response of actual structures.
진동 해석은 시간 혹은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는 다양한 하중에 대해 구조물의 동적 특성을 파악하는 해석 방법임. 특히, 제품 개발 초기 단계에서 설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는 데 기여함. 이에 신뢰성 진동 해석을 위해서는 진동원과 구조물 간의 실제 상호작용을 완전하게 모사하기 위해서는 실제 조건을 반영한 모델링이 필요함. 실제 기반의 진동 응답 모사를 위해서는 실제와 유사한 연결부 조건을 생성해야 함.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차단력 기반의 실제 구조물의 동적 응답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해석 기법을 제안함.
2025.04.25
(이대희) 세탁기 캐비닛의 하부 프레임과 캐비닛 커버의 모델 단순화 및 메시 생성
Model Simplification and Mesh Generation of Washing Machine Cabinet Lower Frame and Cabinet Cover
세탁기 캐비닛의 하부 프레임과 캐비닛 커버의 모델
단순화 및 메시 생성
기계공학과 3학년 이대희
Mesh refers to the grid of nodes and elements in a CAD model, and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greatly affects the analysis results and analysis time. However, if the model contains a complex shape, the mesh may be generated unnecessarily densely, which may cause problems such as increased analysis time and increased memory usage. To solve this, a simplification operation is required to remove parts of the model that do not affect the analysis. In particular, the cabinet of a washing machine has a complex shape, so unnecessary meshes are likely to be generated. This may increase the analysis time and memory usage, and model simplification is required to prevent thi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eminar is to simplify the washing machine cabinet and compare the generated meshes.
메시는 CAD 모델을 절점과 요소로 이루어진 격자를 의미하며, 해석 결과와 해석 시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다. 그러나 모델에 복잡한 형상이 포함된 경우 메시가 불필요하게 조밀하게 생성될 수 있으며, 해석 시간과 메모리 사용량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모델에서 해석에 영향을 주지 않는 부분을 제거하는 단순화 작업이 필요하다. 특히, 세탁기의 캐비닛은 복잡한 형상을 포함하고 있어 불필요한 메시가 생성될 가능성이 크다. 이는 해석 시간 증가와 메모리 사용량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모델 단순화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세미나는 세탁기 캐비닛을 단순화하고 생성된 메시를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5.04.11
(김관우) GUI 기반 자동화 프로그램의 단순모드에서 사용자 편의를 위한 프로그램 개선
Improving User Convenience in the Simple Mode of a GUI-Based Automation Program
GUI 기반 자동화 프로그램의 단순모드에서 사용자 편의를 위한 프로그램 개선
기계공학과 3학년 김관우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llows users to interact with software through visual elements, making programs easier to use. It helps users check inputs and outputs more intuitively and detect errors in real time, which is especially helpful when dealing with complex systems. These advantages are particularly important for users without technical backgrounds. This study focuses on the simple-mode GUI currently being developed for a vibration testing jig based on optimal design. Since most users of this program are non-experts with little or no engineering knowledge, they may find it difficult to recognize input mistakes or system errors. Therefore, this seminar analyzes the current issues in the simple-mode GUI and proposes improvements to make it more user-friendly and accessible.
GUI(Graphical User Interface)는 그래픽을 활용해 사용자가 프로그램과 직관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입력과 출력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오류를 탐지할 수 있어 복잡한 프로그램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은 전문지식이 부족한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하며, 현재 개발 중인 최적설계 기반 진동 시험용 지그의 단순모드 GUI 프로그램 역시 이러한 목적을 지닌다. 본 프로그램의 주요 사용자는 공학적 기초 지식이 없는 비전문가로, 입력 오류나 프로그램 문제를 스스로 인지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단순모드 GUI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사용자 편의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025.04.11
(이한규) GUI를 이용한 유전 알고리즘 기반 외팔보의 사각 단면 최적 설계
Optimal Design of Rectangular Cross-Section Cantilever Beams Based on Genetic Algorithm Using GUI
GUI를 이용한 유전 알고리즘 기반 외팔보의 사각 단면 최적 설계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이한규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is a graphical interface that allows users to directly interact with a computer. Each component is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internal code, so that appropriate responses and feedback are provid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Thanks to this structure, users can easily operate the program using only visual elements such as buttons or icons without having to know complex commands or codes. In this way, GUI does not expose complex internal operations to users, and provides an environment that anyone can intuitively access. However, engineers like us need to have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core functions and design capabilities to implement this interface. Therefore, in this seminar, we will introduce the basic functions and code composition methods of GUI, and share the operating process through a case study of implement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optimal design module for a cantilever beam based on a genetic algorithm in a GUI environment.
Graphical User Interface(GUI)는 사용자가 컴퓨터와 직접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그래픽 기반의 인터페이스이다. 이는 각 구성 요소가 내부 코드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절한 반응과 피드백이 실시간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사용자는 복잡한 명령어나 코드를 몰라도, 버튼이나 아이콘 같은 시각적 요소만으로 프로그램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처럼 GUI는 복잡한 내부 동작을 사용자에게 노출하지 않고, 누구나 직관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하지만 우리와 같은 공학자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해당 구조와 핵심 함수들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설계 역량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GUI의 기본 함수와 코드 구성 방식을 소개하고, 유전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외팔보의 사각 단면 최적 설계 모듈을 GUI 환경에서 구현한 사례를 통해 그 작동 과정을 공유하고자 한다.
2025.04.04
(배정빈) GUI를 이용한 유전 알고리즘 기반 외팔보의 사각 단면 최적 설계
LS ELECTRIC: Job preparation and Interview Insights
LS ELECTRIC: 취업 준비부터 면접 후기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배정빈
During my time in the lab, I often found myself thinking deeply about my future career. While focusing on research is important, I constantly wondered how those experiences could be connected to my long-term career path. I believe many others in the lab may be having similar thoughts. Recently, I went through the interview process with LS ELECTRIC, and both during and after the interviews, I received positive feedback and encouraging responses. This reassured me that the direction I had been preparing for wasn’t wrong, and it made me want to share my interview preparation experience. Preparing for the interviews also gave me a chance to reflect on myself and organize my thoughts, which I found to be extremely helpful. Through this seminar, I hope to share my experience preparing for the interview and, hopefully, provide some motivation and encouragement to others in the lab.
연구실 생활을 하며 진로에 대한 고민이 많았음. 연구에 집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경험들이 커리어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지 항상 고민함. 해당 상황은 연구실 구성원들도 비슷한 고민이 있을 거라 예상됨. 최근 LS ELECTRIC의 면접 과정 중 그리고 후에도 좋은 피드백과 긍정적인 반응을 들을 수 있었음. 이에 준비했던 방향이 틀리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어 면접 준비 과정을 공유하고자 함. 또한, 면접을 준비하며 스스로를 정리해볼 수 있는 시간이기도 하였으며, 해당 과정이 매우 도움되었음.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면접 준비 과정에 대해 공유하고, 연구실 구성원들에게 동기 부여가 되었으면 함.
2025.04.04
(김수민) Cabinet의 해석·실험 결과 간 정합도 증가를 위한 점 접촉 등가 기술 개발 : 연구 소개
Development of Point Contact Equivalent Technology for Matching Analysis and Experimental Results of Cabinet
: Introduction to the Research
Cabinet의 해석·실험 결과 간 정합도 증가를 위한 점 접촉 등가 기술 개발
: 연구 소개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김수민
The cabinet, one of the components that make up a washing machine, forms the exterior of the washing machine. The cabinet consists of a total of six individual parts, assembled through joint methods such as snap-fitting. However, when these joints are modeled as line contact or surface contact in simulations, the stiffness of the cabinet tends to be overestimated compared to the actual structure. This discrepancy leads to differences between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ultimately reducing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this issue can be resolved by equivalently modeling these line or surface contacts as point contacts. Therefore, this seminar aims to introduce a study focused on developing a technology to equivalently model the joints of the six cabinet components as point contacts.
세탁기를 구성하는 부품 중 하나인 케비넷은 세탁기의 외관을 이루는 부품이다. 케비넷은 총 6개의 개별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끼워 맞춤 방식과 같은 결합을 통해 조립된다. 하지만 이러한 결합부를 선 접촉 또는 면 접촉으로 적용하여 해석하는 경우 실제 케비넷의 강성보다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해석 결과와 실험 결과 간 차이를 발생시키며, 해석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는 선 접촉 또는 면 접촉을 점 접촉으로 등가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해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따라서, 본 세미나는 케비넷을 구성하는 6개 부품의 결합부를 점 접촉으로 등가하는 기술의 개발 연구를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5.03.28
(최준원) 진동 시험용 지그의 최적설계를 위한 GUI 기반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 주요 리브 최적설계
Development of a GUI-based Automated Program for Optimal Design of Jigs for Vibration: Main Rib Optimization
진동 시험용 지그의 최적설계를 위한 GUI 기반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주요 리브 최적설계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최준원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is a system that allows users to interact directly with a program using graphics. The GUI enables users to intuitively check inputs and outputs. Additionally, the GUI detects errors in real time, making it easier to use complex programs. An effectively designed GUI enhances user convenience. Furthermore, the GUI plays a crucial role in improving user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his seminar presents the implementation of an optimization-based vibration test jig module in a GUI environment. Additionally, the seminar discusses potential improvements to the developed GUI. Through this discussion, we aim to develop a more efficient and user-friendly interfac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는 그래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프로그램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GUI는 사용자가 입력과 출력을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오류를 탐지할 수 있어 복잡한 프로그램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GUI 구성이 필수적이며, 이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프로그램 사용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세미나는 최적설계 기반 진동 시험용 지그 모듈을 GUI 환경에서 구현하고, 그 작동 과정을 공유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된 GUI의 개선점을 논의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2025.03.21
(백종혁) CAD LAB 홈페이지 백업 및 복구 방법
The Backup and Restore method for CAD LAB Homepage
CAD LAB 홈페이지 백업 및 복구 방법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백종혁
Data on a computer can be lost for various reasons. This loss can cause problems such as loss of important information and service interruption. In fact, recently, there was a problem where data on our lab's homepage was lost one after another. However, it took a lot of time to normalize the homepage because accurate backup and recovery were not performed. Therefore, regular backup and recovery are essential to prevent such problems. This seminar will explain and share the backup and recovery methods for the CAD LAB homepage. Through this, we expect that all lab members will be able to solve problems caused by data loss without panicking.
컴퓨터 상의 데이터는 다양한 이유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손실은 중요한 정보의 유실, 서비스 중단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저희 연구실의 홈페이지의 데이터가 연달아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백업과 복구가 이루어 지지않아 홈페이지를 정상화 하는 것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정기적인 백업과 복구가 필수적입니다. 본 세미나는 CAD LAB 홈페이지의 백업 방법과 복구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데이터 손실로 인한 문제에 당황하지 않고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2025.03.21
(이대희) 효율적인 문서 작성을 위한 Word의 다양한 기능 소개
Introduction to Various Function of Word for Efficient Document Writing
효율적인 문서 작성을 위한 Word의 다양한 기능 소개
기계공학과 3학년 이대희
Microsoft Word is a powerful word processing program that enables users to create various documents such as letters, theses, and reports. It is particularly optimized for writing English documents and is widely used in businesses due to its integration with Excel. Utilizing Word’s diverse features can help reduce document creation time and improve work efficiency. However, for those who have been using Hancom Office Hangul, adapting to Microsoft Word may not be easy. Users unfamiliar with Word may struggle to create documents efficiently. Therefore, this seminar aims to introduce five key features of Word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the workplace to enhance document creation skills. Through this, research lab members will be able to utilize Word more effectively and improve their productivity in document-related tasks.
Microsoft Word는 편지, 논문, 보고서 등 다양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강력한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이다. 특히 영어 문서 작성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Excel과 연동이 가능해 일반 기업에서도 널리 활용된다. Word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면 문서 작성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한컴오피스 한글을 써왔던 사람이 Microsoft Word에 적응하기는 쉽지 않다. Word에 익숙하지 않다면 문서를 효율적으로 작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Word의 실무 적용이 가능한 5가지 핵심 기능을 소개하여 효율적인 문서 작성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연구실 구성원들이 Word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문서 작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2025.03.14
(이한규) MATLAB을 이용한 외팔보 처짐 3D 구현
3D Implementation of Cantilever Deflection Using MATLAB
MATLAB을 이용한 외팔보 처짐 3D 구현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이한규
In the process of solving engineering problems, predicting the deformation of a structure and performing an appropriate design are important factors.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behavior of the structure, such as shear force and moment as well as deflection. In addition, if this is implemented visually, the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can be intuitively confirmed, which will help analyze whether the result value is valid. Therefore, this seminar will introduce a method to implement the deflection of a cantilever beam in 3D using MATLAB. Through this, you can learn the numerical approach to solving engineering problems and learn how to effectively calculate and visualize deformation.
공학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구조물의 변형을 예측하고 적절한 설계를 수행하는 것은 중요한 요소이다. 전단력과 모멘트뿐만 아니라 처짐과 같은 구조물의 거동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를 시각적으로 구현하면 구조물의 변형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 값이 타당한지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될 것 이다다. 따라서 본 세미나는 MATLAB을 활용하여 외팔보의 처짐을 3D로 구현하는 방법을 소개할것이다. 이를 통해 공학 문제 해결을 위한 수치적 접근 방식을 익히고, 변형을 효과적으로 계산하고 시각화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2025.03.07
(김관우) MATLAB을 활용한 고체역학 계산 방법
Methods for Solid Mechanics Calculations Using MATLAB
MATLAB을 활용한 고체역학 계산 방법
기계공학과 학사과정 김관우
In solid mechanics, various analysis techniques are used to evaluate the stability and performance of structures. In particular, MATLAB is a powerful tool that provides programming and numerical analysis capabilities to efficiently solve scientific and engineering problems using computers. Additionally, MATLAB offers visualization features that help intuitively understand complex structural behavior. Due to these advantages, MATLAB is highly useful for analyzing the behavior of complex structures. Therefore, this seminar aims to share programming concepts and methods for solving engineering problems using MATLAB.
고체역학에서는 구조물의 안정성과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해석 기법이 사용된다. 특히, MATLAB은 과학 및 공학 분야의 문제를 컴퓨터를 활용해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과 수치해석 기능을 제공하는 강력한 도구이다. MATLAB은 해석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복잡한 구조 거동을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MATLAB은 복잡한 구조물의 거동 분석에 매우 유용하다.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프로그래밍 개념과 MATLAB을 활용한 공학적 문제 해결 방법을 공유하고자 한다.
2025.03.07
(이한규) 효과적인 발표 자료를 위한 색상 조합 가이드
Color Combination Guide for Effective Presentation
효과적인 발표 자료를 위한 색상 조합 가이드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이한규
A presentation is an act of presenting and explaining new information, research plans, and research values using presentation materials. In this process, presentation materials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veying information and helping the audience understand and persuade. Well-made presentation materials consist of a clean layout, attractive fonts, and harmonious color combinations. While the layout and fonts are mostly fixed, color combinations are relatively free. However, in order to create a harmonious color combination,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s, psychological factors, and personal senses must be considered. Therefore, this seminar will introduce the principles of color combinations and introduce methods of using online tools so that anyone can easily create color combination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lab staff will be able to create neater and more harmonious presentation materials.
발표란, 발표 자료를 활용하여 새로운 정보, 연구 계획, 연구 가치 등을 제시하고 설명하는 행위임. 이러한 과정에서 발표 자료는 정보 전달 및 청중의 이해를 돕고 설득하는 중요한 역할을 함. 잘 만들어진 발표자료는 깔끔한 레이아웃, 보기 좋은 폰트, 조화로운 색 조합으로 이루어짐. 이 중 레이아웃과 폰트는 대부분 정해져 있는 반면, 색 조합은 비교적 자유로움. 하지만 조화로운 색 조합을 위해서는 색상 간 관계, 심리적 요소, 개인적인 감각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해야 함.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색 조합의 원칙을 소개하고, 누구나 쉽게 색 조합을 할 수 있도록 온라인 도구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함. 이를 통해 연구실 인원이 보다 깔끔하고 조화로운 발표 자료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2025.02.28
(김관우) 좌굴의 배경지식과 이론적 개념
Background Knowledge and Theoretical Concepts of Buckling
좌굴의 배경지식과 이론적 개념
기계공학과 학사과정 김관우
Buckling is a phenomenon in which a structure undergoes sudden instability and deformation when subjected to compressive loads, significantly impacting its safety and durability. Understanding and preventing buckling requires analyzing the structural behavior and developing appropriate design strategies. This seminar will introduce the concept of buckling and its underlying causes, explaining the theoretical approaches to addressing this issue. Additionally, various case studies will be examined to explore buckling analysis methods, and design strategies for ensuring structural stability will be discussed.
좌굴은 구조물이 압축 하중을 받을 때 갑작스럽게 불안정한 형태로 변형되는 현상으로,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좌굴 현상을 이해하고 방지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거동을 분석하고 적절한 설계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세미나에서는 좌굴의 개념과 그 발생 원리를 소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좌굴이론을 설명한다. 또한, 다양한 사례를 통해 좌굴 해석 방법을 살펴보고, 안정성을 확보하는 설계 전략을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5.02.28
(백종혁) Web에서의 MATLAB GUI 사용법
IUsing the MATLAB GUI Method on the Web
Web에서의 MATLAB GUI 사용법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백종혁
Recently, we started the 3rd year project with SL. One of the considerations for the project is how to have the partner company use the GUI and optimal design module that we delivered to SL. We are currently considering using this by purchasing a license in the form of a token from ANSYS. However, this method has the problem of high cost. Therefore, a new method that can share the GUI created through this project is needed. MATLAB web serve is a method of uploading the GUI code written in MATLAB to the web and using it. Therefore, this presenter would like to introduce MATLAB web server and how to use it.
최근 SL과의 3차 년도 과제를 시작하였다. 해당 과제의 고려 사항 중 하나로 SL 측에 전달한 GUI 및 최적설계 모듈을 협력사에서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현재는 이를 ANSYS를 토큰 형식으로 라이선스를 구입하여 이용하는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 다만, 이 방법은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과제를 통해 제작한 GUI를 공유 가능한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MATLAB web serve은 MATLAB에서 작성한 GUI 코드를 web상에 올려 사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발표자는 MATLAB web server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 하고자 한다.
2025.02.21
(김수민) 진동 시험용 지그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직교배열을 사용한 두께 최적설계 소개
Development of Automated Optimum Design Program for Vibration and Impact Testing Jig
:Introduction to Thickness Optimization Using Orthogonal Arrays
진동 시험용 지그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 직교배열을 사용한 두께 최적설계 소개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김수민
Recently, because of enlargement of vehicle lamps, test jigs of lamps has increase in the weight and natural frequency. To address this issue, an automated optimization module for test jigs is being developed. In the jig optimization process, thickness optimization is one of important methods. because It is easy to improve weight and nature frequency to change ribs thickness. Therefore, Developing thickness optimization module can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automated optimization program. In thickness optimization, rib can have three possible thickness value. which is discrete variable. Discrete variable problems can be solved using an orthogonal array. Therefore, this seminar aims to explain orthogonal arrays and introduce a methodology for thickness optimization using this approach.
최근 차량용 램프의 대형화로 인해 시험용 지그의 무게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고유진동수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진동 시험용 지그의 최적설계를 자동화하는 모듈을 개발 중이다. 지그 최적설계 과정에서 지그의 두께 최적화는 주요 리브와 보강 리브의 두께를 조절하여 간단하게 지그의 무게와 고유진동수를 개선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두께 최적설계 모듈을 개발하면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두께 최적설계에서 리브가 가질 수 있는 두께 값은 총 세 가지이며, 이는 이산 변수에 해당한다. 이산 변수를 가지는 최적화 문제는 직교배열을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직교배열을 설명하고, 이를 활용한 두께 최적설계 방법론을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5.02.21
(배정빈) 복소수 강성 기반 연결부의 동강성 부여 방법
Method for Applying Dynamic Stiffness
to Joints Based on Complex Stiffness
복소수 강성 기반 연결부의 동강성 부여 방법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배정빈
The presenter is currently conducting a project on 3D CAE-based noise and vibration analysis using Blocked Force. After performing modal correlation analysis of the substructures, the entire 3D washing machine model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the structures. The accuracy of the constructed model is evaluated by comparing the simulation results of mode shapes. The substructures are connected using Springs, Dampers, and Gaskets, which serve as connection elements based on dynamic stiffness. The elements used for assembly must incorporate dynamic stiffness derived from the provided data. Therefore, this seminar introduces the method for selecting and implementing appropriate elements that can apply dynamic stiffness based on the given data.
본 발표자는 Blocked Force를 활용한 3D CAE 기반 소음 및 진동 해석 과제를 수행중임. 하위 구조물의 모드 상관성 분석 이후 구조물들을 연결하여 세탁기 전체 3D 모델을 구축함. 모드 형상 비교를 통해 구축 모델의 해석 결과를 비교함. 각 하위 구조물의 연결은 Spring, Damper, Gasket을 통해 연결됨. Spring, Damper, Gasket은 동강성(Dynamic Stiffness)을 기반한 연결부 요소임. 이때, 결합에 사용되는 요소에는 제공받은 데이터를 기반하여 동강성이 부여되어야 함.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제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강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적절한 요소를 선정 및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함.
2025.02.14
(최준원) 논문 게재의 첫걸음: 실패를 통해 배운 성공 전략 및 적용
First Steps to Publishing a Paper: Success Strategies Learned from Reject
논문 게재의 첫걸음: 실패를 통해 배운 성공 전략 및
적용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최준원
Over the past year, the presenter has written various papers and experienced the peer-review process. Throughout this experience, the presenter has observed common patterns in both successful and unsuccessful paper submissions. This presentation aims to share strategies for overcoming challenges in writing and responding to reviewers during the publication process. In particular, the presenter will highlight key lessons learned from past failures and demonstrate how these insights led to successful outcomes. Practical strategies that can be applied to real-world academic publishing will be introduced. Through this presentation, students will gain effective methods to improve their chances of publishing their research successfully.
본 발표자는 지난 1년간 다수의 논문을 작성하고 논문 심사 과정을 경험한 바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논문 게재의 성공과 실패에는 공통된 특징이 있음을 느낀 바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논문 작성 및 심사 대응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특히, 실패를 통해 얻은 교훈과 이를 개선하여 성공으로 이어진 사례를 소개하며,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 자 합니다. 본 발표를 통해 학생들은 논문 게재 성공률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2025.02.07
(이한규) 최적설계 개념 및 용어 소개
Introduction to Optimum Design Concepts and Terminology
최적설계 개념 및 용어 소개
기계공학과 학사과정 이한규
Optimal design is a design technique that maximizes performance or minimizes cost by adjusting design variables within given constraints.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tructures or systems by utilizing mathematical optimization techniques. In optimal design, core concepts such as objective functions, design variables, and constraints are used, and through these,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the design can be improved. This seminar aims to introduce the basic concepts and key terms of optimal design and explain how to apply them to actual design problems.
최적설계는 주어진 제약 조건 내에서 설계 변수들을 조정하여 성능을 극대화하거나 비용을 최소화하는 설계 기법입니다. 이는 수학적 최적화 기법을 활용하여 구조물이나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최적설계에서는 목적 함수, 설계 변수, 제약 조건과 같은 핵심 개념이 사용되며, 이를 통해 설계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본 세미나에서는 최적설계의 기본 개념과 주요 용어를 소개하고, 이를 실제 설계 문제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025.01.24
(김관우) 설계 및 해석을 하기 전 고체역학의 5가지 변형
Five Types of Deformation in Solid Mechanics to Understand Before Design and Analysis
설계 및 해석을 하기 전 고체역학의 5가지 변형
기계공학과 학사과정 김관우
Mechanics of materials is a study that analyzes the behavior of deformable bodies under various types of loads in equilibrium. This is necessary for designing machines and evaluating the stability of structures. Therefore, it’s necessary to study materials mechanics to analyze the structural behavior of deformable bodies. Through this, the goal of this seminar is to provide basic concepts and examples based on the structural behavior of deformable objects. This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actual design based on the principles of material mechanics.
재료역학은 평형상태에서 여러가지 형태의 하중을 받고 있는 변형체의 거동을 해석하는 학문이다. 이는 기계를 설계하고 구조물의 안정성을 평가하는데 필요하다. 따라서 변형체의 구조적 거동에 대한 분석을 하기 위해 재료역학에 대해 공부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본 세미나에서는 변형체의 구조적 거동에 따른 기초 개념과 예제풀이를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재료역학의 원리를 바탕으로 실제 설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2025.01.24
(백종혁) 최적설계 개념 소개
Introduction to Optimal Design Concepts
최적설계 개념 소개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백종혁
Optimal design is a design method that maximizes target performance or minimizes cost within given constraints. It involves setting design variables and target functions and finding the optimal solution through numerical optimization techniques. However, optimal design requires considerable knowledge and may be difficult for many people. Therefore, this seminar will briefly introduce the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of optimal design. Through this, participants are expected to understand the main techniques of optimal design and develop the ability to apply them to actual problems.
최적설계는 주어진 제약 조건 내에서 목표 성능을 극대화하거나 비용을 최소화하는 설계 방법이다. 이는 설계 변수와 목표 함수를 설정하고, 수치적 최적화 기법을 통해 최적의 해를 찾는 과정을 포함한다. 다만 최적설계는 상당한 지식을 필요로하여 다수의 사람에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최적설계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참가자들은 이를 통해 최적설계의 주요 기법을 이해하고, 실제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것으로 기대된다.
2025.01.21
(김수민) MATLAB을 통한 SLP, SQP 구현 및 최적화 수행
Implementation and Optimization of SLP and SQP Using MATLAB
MATLAB을 통한 SLP, SQP 구현 및 최적화 수행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김수민
Optimization is an essential technique for solving various problems, and to utilize it effectivel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thod. In particular, SLP (Sequential Linear Programming) and SQP (Sequential Quadratic Programming) are widely used optimization methods in various fields. However, these two techniques follow different principles to perform optimization, each having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making it crucial to choose the appropriate method depending on the situation. To achieve this, a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operational principles of each optimization method is necessary. Therefore, this seminar aims to introduce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SLP and SQP by directly implementing these methods using MATLAB.
최적화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기술이며,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각 방법의 특성을 잘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SLP와 SQP는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두 최적화 기법은 서로 다른 원리를 통해 최적화를 진행하며, 이에 각기 다른 특징과 장점을 가지고 있어,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각 최적화 기법의 동작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세미나는 MATLAB을 사용하여 SLP와 SQP를 직접 구현하여 두 기법의 차이와 특징을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5.01.21
(배정빈) 구조물의 연결부 동강성 적용
Application of the Dynamic Stiffness to the Connection of the Structure
구조물의 연결부 동강성 적용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배정빈
The reliability of the model is evaluated by comparing the mode shapes and natural frequencies between the experimental data and the simulation data. For the modal analysis and validation of the entire structure, the substructures need to be assembled. In this process, the elements used for the assembly must be assigned dynamic stiffness. Dynamic stiffness determines how the system responds to external loads or vibrations. Therefore, this seminar introduces the method of applying elements using APDL Command.
실험 데이터와 해석 데이터 간의 모드 형상 및 고유진동수 비교를 통해 모델의 신뢰성을 평가함. 전체 구조물의 모드 해석 및 검증을 위해서는 하위 구조물들을 결합해줘야 함. 이때, 결합에 사용되는 요소에는 동강성(Dynamic Stiffness)가 부여되어야 함. 동강성은 시스템이 외부 하중이나 진동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결정함.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APDL Command를 활용한 요소 부여 방법을 소개함.
2025.01.21
(최준원) SCI 논문 심사 : 코멘트 분석 및 대응 방법
SCI Paper Review: Comment Analysis and Response
SCI 논문 심사 : 코멘트 분석 및 대응 방법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최준원
The presenter participated as the second author in a paper titled "Prediction of Proximal Femur Fracture Pathways Using a Strain Energy-Based Dijkstra Algorithm." The paper received a total of 18 comments from three reviewers, and the presenter plans to draft responses to these comments. This seminar will begin with an overview of the review outcomes and then provid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process of drafting and organizing responses to each comment. The seminar aims to demonstrate how to effectively address diverse perspectives and incorporate them into comprehensive responses. Additionally, the presenter will share valuable insights and lessons learned from the manuscript review process with the attendees.
본 발표자는 제 2저자로 참여하여 "변형률 에너지 기반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이용한 근위 대퇴골 골절 경로 예측"이라는 주제로 논문을 투고한 바 있다. 해당 논문은 3명의 리뷰어로부터 총 18개의 논평을 받았으며, 이에 대한 답변 작성할 계획이다. 본 세미나는 심사 결과를 소개하는 것을 시작으로, 각 논평에 대해 어떻게 답변을 작성하고 정리했는지에 대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할 예정이다. 다양한 관점에서 제기된 다수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반영하는 답변 작성법과 논문 심사 과정에서 얻은 교훈을 참석자들과 공유하고자 한다.
2025.01.06
(이한규) ANSYS Discovery 소개 및 기존 도구와의 비교
Introduction to ANSYS Discovery and Comparison with Existing Tools
ANSYS Discovery 소개 및 기존 도구와의 비교
기계공학과 학사과정 이한규
The Discovery function of ANSYS Workbench is a tool that provides differentiated functions in the design and simulation process. This function is a tool that allows engineers to easily analyze structural, fluid, and thermal behaviors in the early design stage through simulation. In addition, Discovery can modify design changes more easily than existing programs and quickly derive optimal design methods. This allows engineers to save cost and time by minimizing unnecessary work in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Therefore, this seminar introduces the use of simulation using ANSYS Discovery and compares the numerical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analyzed by existing methods and the results using Discovery to share the impact of this tool on design and analysis efficiency.
ANSYS Workbench의 Discovery 기능은 설계 및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는 도구이다. 이 기능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엔지니어들이 초기 설계 단계에서 구조, 유체, 열 거동을 손쉽게 분석할 수 있는 도구이다. 또한 Discovery는 기존 프로그램에 비해 설계 변경 사항을 보다 쉽게 수정할 수 있으며, 최적의 설계 방안을 빠르게 도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엔지니어들은 제품 개발 과정에서 불필요한 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세미나는 ANSYS Discovery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사용 방법을 소개하고, 기존 방법으로 해석한 결과와 Discovery를 활용한 결과 간의 수치적 차이를 비교하여 이 도구가 설계 및 해석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공유하고자 한다.
2024.12.23
(김관우) 대퇴골의 구조 및 기능 소개
Introduction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Femur
대퇴골의 구조 및 기능 소개
기계공학과 학사과정 김관우
The femur is the longest and strongest bone in the human body, playing an essential role in maintaining normal daily activities and mobility. As Korean society transitions into a super-aged society, the incidence of femoral fractures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This has become a major cause of osteoporosis and various complications. To address these issues, research on femoral treatment methods and a foundational understanding are necessary. Therefore, this seminar aims to introduc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femur based on studies related to it.
대퇴골은 인체에서 가장 길고 단단한 뼈이다. 이는 정상적인 생활과 활동에 있어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한국 사회가 초고령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령 인구의 대퇴골 골절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골다공증과 다양한 합병증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퇴골 치료법에 대한 연구와 기초적인 학습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대퇴골과 관련된 논문을 바탕으로 대퇴골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2024.12.23
(백종혁) 최적설계 모듈을 이용하여 지그 제작을 위한 가이드 라인 소개
Introduction to Guidelines for Jig Manufacturing Using the Optimal Design Module
최적설계 모듈을 이용하여 지그 제작을 위한 가이드 라인 소개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백종혁
Recently, we have developed a vibration test jig optimal design module in our lab. This module has the advantage that even those who lack expertise in optimal design can easily design vibration test jigs optimally. However, in order to use this module, knowledge of optimal design is not necessary, but guidelines for use are needed. Therefore, this seminar will introduce guidelines for using the optimal design module. We expect that anyone will be able to use the module easily through this.
최근 연구실에서 진동시험용 지그 최적설계 모듈을 개발하였습니다. 이 모듈은 최적설계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한 사람도 쉽게 진동 시험용 지그를 최적설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이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적설계에 대한 지식은 필효하지 않지만 사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본 세미나는 최적설계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가이드라인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누구나 쉽게 모듈을 사용할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
2024.12.13
(최준원) SCI 논문 심사 : 코멘트 분석 및 대응 방법
SCI Paper Review: Comment Analysis and Response
SCI 논문 심사 : 코멘트 분석 및 대응 방법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최준원
The author has submitted a paper on “Comparison of structural behavior following bone scaffold implantation in multi-resolution proximal femur images”. The paper received a total of seven comments from two reviewers. The author is currently drafting responses to the comments. Due to the variety of perspectives raised, drafting the responses has been challenging. This seminar will provide an overview of the review process and explain the response preparation in detail. Through this seminar, the author aims to share experiences from the manuscript review process with the attendees.
본 연구자는 다중 해상도 기반 골용 스캐폴드의 구조적 거동 분석을 주제로 논문을 투고한 바 있다. 해당 논문은 2명의 리뷰어로부터 총 7개의 논평을 받음. 현재 답변을 작성하고 있으며, 다양한 관점에서 제기된 다수의 의견들로 인해 답변 작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세미나는 심사 결과에 대한 소개와 함께, 각 논평에 대한 답변 정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함. 또한, 본 세미나를 통해 참석자들에게 논문 심사 과정에서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2024.12.13
(배정빈) Blocked Force 및 FBS 기법을 이용한 소음진동예측 기술 개발:하위 구조물별 모드 상관성 분석
Development of Noise and Vibration Prediction Technology Using Blocked Force and FBS: Analysis of modal correlation by substructure
Blocked Force 및 FBS 기법을 이용한 소음진동예측 기술 개발:하위 구조물별 모드 상관성 분석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배정빈
The presenter is currently conducting a project with LG on the topic of "Development of Noise and Vibration Prediction Technology Using Blocked Force and FBS." In the second year, other students will also participate in the pro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hare the project overview and progress. Thus, this seminar aims to present the current status and progress of the ongoing project.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s on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analysis through modal correlation analysis of substructures and the entire model and deriving an optimized prediction methodology.
본 발표자는 ‘Blocked Force 및 FBS 기법을 이용한 소음진동예측 기술 개발’이라는 주제로 LG와 과제를 수행 중임. 2차년도에는 다른 학생과 2차년도 과제부터 다른 학생과 같이 과제를 수행할 수 있음. 이에 따라 본 과제의 개요 및 진행 상황에 대해 공유할 필요가 있음.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과제의 개요와 진행 상황에 대해 공유하고자 함. 특히, 하위 구조물 및 전체 모델의 모드 상관성 분석을 통해 해석의 신뢰도를 높이고, 최적화된 예측 기법을 도출하는 것이 연구하는 것을 공유함.
2024.12.13
(백지아) 토익 스피킹 시험과 준비전략
TOEIC Speaking Test and Preparation Strategies
토익 스피킹 시험과 준비전략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백지아
TOEIC Speaking is a test that evaluates English conversation skills needed in business and daily life. It serves as an important criterion for assessing conversational abilities.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test's structure and preparation strategies is essential to achieving the desired score. Therefore, this seminar aims to help participants prepare for the test effectively by providing an introduction to the TOEIC Speaking test, its structure, main types, and preparation strategies.
토익 스피킹은 실무와 일상에서 필요한 영어 회화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이는 회화 능력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로 활용된다. 원하는 성적을 얻기 위해서는 시험의 구성과 준비 전략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세미나는 토익 스피킹 시험의 소개, 구성, 주요 유형, 준비 전략에 대해 제시하여 참가자들이 효과적으로 시험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4.11.29
(김지선) 진동 시험용 지그의 최적 설계 자동화 모듈 개발: 전처리 모듈의 개선 사항 공유 및 개선 사항이 적용된
전처리 결과
Development of Automated Module for Optimal Design of Jigs for Vibration: Improvements to the Preprocessing Module and Results with Applied Enhancements
진동 시험용 지그의 최적 설계 자동화 모듈 개발
: 전처리 모듈의 개선 사항 공유 및 개선 사항이 적용된 전처리 결과
기계공학과 박사 김지선
As automotive lamps become larger, the mass of jigs for lamp testing also increases to meet target natural frequencies. This makes jig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more challenging, increasing the difficulty of testing. Traditional jig design has relied on the intuition and experience of designers, limiting the scope and outcomes of design. To address thi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utomated optimization module for vibration test jig design based on mathematical theory and computer computation. The module is developed in three steps: (1) preprocessing, (2) optimization of the main rib design and (3) optimization of the reinforcement rib design. The preprocessing module determines the design area of the ribs and the initial positions of the main ribs,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 the optimization results. This seminar aim to share improvements of preprocessing module to maximize the optimization results and analyze the results achieved by applying these improvements.
자동차 램프의 대형화에 따라 램프 시험용 지그의 질량도 목표 고유진동수를 충족시키기 위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그의 이동과 설치가 어려워지고 시험 난이도도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 지그 설계는 설계자의 직관과 경험에 의존해왔고, 이는 설계 범위와 결과를 제한했다.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고자, 수학적 이론과 컴퓨터 연산을 기반으로 진동 시험용 지그의 최적설계 자동화 모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모듈은 (1) 전처리, (2) 주요 리브 최적 설계와 (3) 보강 리브 최적설계의 세 단계로 진행된다. 특히 전처리 모듈은 리브 설계 영역과 주요 리브의 초기 위치를 결정하여 최적 설계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세미나에서는 최적 설계 결과 극대화를 위한 전처리 모듈의 개선 사항을 공유하고 개선 사항이 적용된 결과를 분석한다.
2024.11.22
(이한규) 상황별 다목적 운반차량 프레임 개선
Improved frame of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for diffrent situation
상황별 다목적 운반차량 프레임 개선
기계공학과 학사과정 이한규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s are designed to safely load and transport cargo in various work environments. For these vehicles to operate reliably, the vehicle frame must possess sufficient structural rigidity to withstand the intended design load. However, the frames of vehicles currently in use fail to meet these design specifications, leading to structural deformation during loading. This seminar aims to share the results of the optimized design of the frame structure, which has improved structural stability.
다목적 운반 차량은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화물을 안전하게 적재하고 운송할 수 있도록 설계된 차량이다. 이러한 차량이 안정적으로 운행되기 위해서는, 차량 프레임이 설계된 목표 적재량을 견딜 수 있는 구조적 강성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사용 중인 차량의 프레임은 이러한 설계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어, 적재 시 구조적 변형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세미나는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킨 프레임 구조의 최적설계 결과를 공유하고자 한다.
2024.11.15
(김수민) 진동 시험용 지그의 최적설계 자동화 모듈 개발: 하부 볼팅 포인트 결정 모듈 소개 및 메인 리브 생성을
위한 GA 수행 결과
Development of an Automated Module for Optimal Design of Vibration Test Jigs
: The results of the GA for generating the main rib
진동 시험용 지그의 최적설계 자동화 모듈 개발
: 하부 볼팅 포인트 결정 모듈 소개 및 메인 리브 생성을 위한 GA 수행 결과
기계공학과 4학년 김수민
To address the issues of increased weight and decreased natural frequencies due to the recent scaling up of jigs, an automated optimization module for vibration test jigs is being developed. Jigs generated through this optimization automation module are evalua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optimized jigs in ANSYS WORKBENCH. As a result, ANSYS WORKBENCH users also need to understand the code used within the automation module. However, since the current optimization automation module is divided into multiple sub-modules, it is challenging for users to learn effectively. Therefore, this seminar aims to facilitate the learning process by introducing two newly added components of the optimization automation module: the reinforcing rib generation module and the bolting point generation module.
최근 지그의 대형화로 인한 무게 증가와 고유진동수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동 시험용 지그의 최적설계 자동화 모듈을 제작하고 있다. 최적설계 자동화 모듈을 통해 생성되는 지그는 ANSYS WORKBENCH에서 최적설계를 통해 생성된 지그의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된다. 이에 WORKBENCH 사용자도 자동화 모듈에 사용되는 코드를 학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최적설계 자동화 모듈은 여러 모듈로 나누어져 있어 복잡하기 때문에 학습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세미나는 모듈 학습이 원활할 수 있도록 최적설계 자동화 모듈에 새롭게 추가된 보강 리브 생성 모듈과 볼팅 포인트 생성 모듈을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4.11.15
(배정빈, 백종혁) MDPI 논문 작성을 위한 레이아웃 소개
Introduction to the Layout for Writing a MDPI Papers
MDPI 논문 작성을 위한 레이아웃 소개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배정빈, 백종혁
This presentation shares the MDPI paper layout writing method and provides layout writing examples based on it. The layout examples are organized around the research on the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jigs for vibration testing, and the influence of various connection methods and the importance of accurate modeling are discussed. In addition, the problems of various bolt connection analysis models are pointed out, and the goal is to derive the most similar modeling metho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actual jigs.
본 발표자료는 MDPI 논문 레이아웃 작성법을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성된 레이아웃 작성 예시를 제공합니다. 진동 시험용 지그의 설계 및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레이아웃 예시가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연결 방식의 영향과 정확한 모델링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합니다. 또한, 다양한 볼트 연결 해석 모델의 문제를 지적하고, 실제 지그를 이용한 실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가장 유사한 모델링 방법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024.11.01
(백지아)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이용한 변형률 에너지 기반 균열 경로 예측법
Crack Path Prediction Method Based on Strain Energy Using the Dijkstra algorithm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이용한 변형률 에너지 기반 균열 경로 예측법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백지아
Since cracks significantly influence material damage and failure, predicting crack paths in advance is crucial. However, conventional methods require high computational time and costs, and there is a lack of validation against experimental results. Thus, this study proposes a novel method using the Dijkstra algorithm to predict crack paths based on strain energy.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two models: spent nuclear fuel cladding and the proximal femur. The predicted crack paths for each model showed high accuracy when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and conventional prediction methods. This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the proposed method for predicting crack paths in various structures.
균열은 재료의 손상과 파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전에 균열 경로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들은 높은 시간과 계산 비용을 요구하며, 실험 결과와의 검증이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변형률 에너지 분포를 기반으로 균열 경로를 예측하기 위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활용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론은 두 가지 모델, 사용후핵연료 피복관과 근위 대퇴골 적용되었으며, 각 모델에 대한 예측된 균열 경로는 실험적 데이터 및 기존의 예측 방법과 비교하여 높은 정확성을 보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이 다양한 구조물의 균열 경로 예측에 적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2024.10.18
(김지선) 최적설계 방법 기반 근위대퇴골의 관심 영역 대상 환자 맞춤형 하중 결정법: 정확성 검증을 위한 저해상도 모델 생성법
Patient-Specific Load Determination Method for Regions of Interest in the Proximal Femur Based on Optimization
: Generation of low-resolution models
to verify accuracy
최적설계 방법 기반 근위대퇴골의 관심 영역 대상 환자 맞춤형 하중 결정법
: 정확성 검증을 위한 저해상도 모델 생성법
기계공학과 박사후연구원 김지선
Patient-specific load estimation is essential for analyzing changes and behavior in an individual patient's bone structure to ensure accurate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predicting overall femur load, failing to reflect the detailed load distribution in specific regions, which limits accuracy. To address this,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method to predict patient-specific loads for specific regions of interest (ROI) in the femur using optimization. A finite element (FE) model is constructed based on the patient’s femur images, and the optimal load conditions that maximize the load dependency score (LDS) are determined. In the verification and validation process, the accuracy of the load prediction was evaluated using synthetic femur models generated under both single and multiple load conditions. The predicted loads were then applied to reconstruct the bone microstructure and compared with reference models. In this seminar, the validation results will be shared, and we will discuss how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accuracy and validity of load estimation compared to the reference model.
환자 맞춤형 하중 예측은 개별 환자의 골 구조 변화와 거동을 분석하여 정확한 의료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대퇴골 전체를 대상으로 한 하중 예측에 중점을 두어, 각 부위별 세부적인 하중 분포를 반영하지 못해 정확도에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최적설계를 이용하여 대퇴골의 특정 관심 영역에 대한 환자 맞춤형 하중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환자의 대퇴골 이미지를 기반으로 유한 요소(FE) 모델을 생성하고, 하중 의존도(LDS)를 최대화하는 최적의 하중 조건을 도출한다. 검증 과정에서는 단일 및 복합 하중 조건에서 생성된 인공 대퇴골 모델을 활용해 하중 예측의 정확도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예측된 하중을 골 미세 구조 재건에 적용하여 기존 모델과 비교하였다. 본 세미나에서는 이 검증 결과를 공유하며, 제안된 방법이 기존 방식보다 하중 예측의 정확성과 유효성을 논의할 예정이다.
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