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선) 최적설계 방법 기반 근위대퇴골의 관심 영역 대상 환자 맞춤형 하중 결정법: 정확성 검증을 위한 저해상도 모델 생성법
(김지선) 최적설계 방법 기반 근위대퇴골의 관심 영역 대상 환자 맞춤형 하중 결정법: 정확성 검증을 위한 저해상도 모델 생성법
Patient-Specific Load Determination Method for Regions of Interest in the Proximal Femur Based on Optimization
: Generation of low-resolution models
to verify accuracy
최적설계 방법 기반 근위대퇴골의 관심 영역 대상 환자 맞춤형 하중 결정법
: 정확성 검증을 위한 저해상도 모델 생성법
기계공학과 박사후연구원 김지선
Patient-specific load estimation is essential for analyzing changes and behavior in an individual patient's bone structure to ensure accurate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predicting overall femur load, failing to reflect the detailed load distribution in specific regions, which limits accuracy. To address this,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method to predict patient-specific loads for specific regions of interest (ROI) in the femur using optimization. A finite element (FE) model is constructed based on the patient’s femur images, and the optimal load conditions that maximize the load dependency score (LDS) are determined. In the verification and validation process, the accuracy of the load prediction was evaluated using synthetic femur models generated under both single and multiple load conditions. The predicted loads were then applied to reconstruct the bone microstructure and compared with reference models. In this seminar, the validation results will be shared, and we will discuss how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accuracy and validity of load estimation compared to the reference model.
환자 맞춤형 하중 예측은 개별 환자의 골 구조 변화와 거동을 분석하여 정확한 의료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대퇴골 전체를 대상으로 한 하중 예측에 중점을 두어, 각 부위별 세부적인 하중 분포를 반영하지 못해 정확도에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최적설계를 이용하여 대퇴골의 특정 관심 영역에 대한 환자 맞춤형 하중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환자의 대퇴골 이미지를 기반으로 유한 요소(FE) 모델을 생성하고, 하중 의존도(LDS)를 최대화하는 최적의 하중 조건을 도출한다. 검증 과정에서는 단일 및 복합 하중 조건에서 생성된 인공 대퇴골 모델을 활용해 하중 예측의 정확도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예측된 하중을 골 미세 구조 재건에 적용하여 기존 모델과 비교하였다. 본 세미나에서는 이 검증 결과를 공유하며, 제안된 방법이 기존 방식보다 하중 예측의 정확성과 유효성을 논의할 예정이다.
2024.10.11
(최준원) SCI 논문 심사 : Major 코멘트 분석 및 대응 방법
SCI Paper Review: Major Comment Analysis and Response
SCI 논문 심사 : Major 코멘트 분석 및 대응 방법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최준원
The author has submitted a paper on the optimization of patient-specific stem length, considering the bone microstructure of the proximal femur. The paper received a total of 29 comments from three reviewers. Currently, we are in the process of drafting responses to the various opinions raised by the reviewers from diverse perspectives. The purpose of this seminar is to analyze the reviewers' intentions behind their comments and establish effective strategies to address them. By formulating a systematic approach to drafting logical responses to the reviews, we expect to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publication of the paper.
본 연구자는 근위 대퇴골의 골 미세구조를 고려한 환자 맞춤형 스템 길이 최적화를 주제로 논문을 투고하였으며, 해당 논문에 대해 3명의 리뷰어로부터 총 29개의 의견을 받았습니다. 현재 이러한 리뷰어들의 다양한 관점에서 제기된 의견들에 대한 답변을 작성 중입니다. 본 세미나는 심사 결과에 대한 리뷰어의 의도를 분석하고,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체계적인 논리 리뷰 작성 방안을 수립함으로써 성공적인 논문 게재를 이루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2024.10.11
(김수민) 진동 시험용 지그의 최적설계 자동화 모듈 개발 : 리브형 지그 생성 코드 소개
Development of an Automated Module for Optimal Design of Vibration Test Jigs
: Introduction to Ribbed Jig Generation Algorithm
진동 시험용 지그의 최적설계 자동화 모듈 개발
: 리브형 지그 생성 코드 소개
기계공학과 4학년 김수민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the size of automotive lamps, the vibration test jigs have also become larger. This enlargement of the jigs leads to an increase in their weight and a decrease in their natural frequency, posing a challenge. To address this issue, we are developing an optimization automation module for the optimal design of vibration test jigs. The jigs generated through this optimization automation module are evalua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jigs optimized in ANSYS WORKBENC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optimization process in the automation module aligns with the optimization process in ANSYS WORKBENCH. This seminar aims to introduce the algorithm that generates jigs in the optimization automation module, as well as the algorithms that will be developed, to facilitate smooth coordination in module development.
최근 자동차 램프의 대형화로 인해 진동 시험용 지그도 함께 대형화되고 있다. 지그의 대형화는 지그의 무게를 증가시키고 고유진동수를 감소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동 시험용 지그의 최적설계 자동화 모듈을 제작하고 있다. 최적설계 자동화 모듈을 통해 생성되는 지그는 ANSYS WORKBENCH에서 최적설계를 통해 생성된 지그의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된다. 이에 자동화 모듈의 최적설계 과정과 ANSYS WORKBENCH의 최적설계 과정이 일치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세미나는 모듈 개발에 원활한 조정이 가능하도록 최적설계 자동화 모듈이 지그를 생성하는 알고리즘과 개발될 알고리즘을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4.09.27
(배정빈) 조화 해석의 개요 및 Ansys 적용 방법
Tutorial of Harmonic Analysis
and Application Methods Using Ansys
조화 해석의 개요 및 Ansys 적용 방법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배정빈
This researcher is conducting a project on the application of the blocked force-based transmission path analysis technique for accurately identifying vibration characteristics. Since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washing machine are considered in this projec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washing machine motor must be implemented and analyzed. In addition, harmonic analysis is essential for analyzing the repetitive shape of the motion. Therefore, in this seminar, I would like to share the method of giv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washing machine motor and the contents of harmonic analysis.
본 연구자는 정확한 진동 특성 파악을 위한 차단력(Blocked Force) 기반 전달경로해석 기법 적용을 주제로 과제를 수행하고 있음. 해당 과제는 세탁기의 진동 특성을 고려하기에 세탁기 모터의 회전 모션을 구현하여 해석을 수행해야함. 또한, 해당 모션은 반복되는 형상을 분석하기에 조화 해석이 필수적임.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세탁기 모터의 회전 모션을 부여하는 방법과 조화 해석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함.
2024.09.20
(백종혁) CAD LAB 홈페이지 수정 및 관리 방법
How to Edit and Manage CAD LAB homepage
CAD LAB 홈페이지 수정 및 관리 방법
석사과정 백종혁
The homepage is one of the easiest ways for outsiders to get information about the lab. It can be said that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first impression of the lab.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lean homepage and write up-to-date information. However, creating (editing and managing) a homepage is generally not easy for beginners because there is no easy opportunity to do so. Therefore, the goal of this presentation is to introduce the overall method of creating a homepage so that even beginners can easily follow it.
홈페이지는 외부 사람들이 연구실에 대해 정보를 얻는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이다. 이는 연구실에 대한 첫 인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홈페이지를 깔끔하게 작성하고, 최신화 된 정보를 작성해 둘 필요가 있다. 하지만 홈페이지 작성(수정 및 관리)은 일반적으로 쉽게 접할 기회가 없어 처음 하는 사람에게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표는 홈페이지를 작성하는 전반적인 방법에 대해 소개하여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2024.09.20
(백지아) SCI 논문 심사 대응: 리비전 노트 작성법
SCI paper review response
: How to write revision note
SCI 논문 심사 대응: 리비전 노트 작성법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백지아
The researcher has submitted a paper on the prediction of the crack path in spent nuclear fuel cladding using a strain energy-based Dijkstra algorithm. The paper received a total of 29 comments from 5 reviewers. Currently, responses are being prepared, but the process is challenging due to the diverse perspectives and numerous comments raised. This seminar aims to introduce the review outcomes and explain in detail the process of organizing responses to each comment. Through this, the researcher hopes to share their experience of the manuscript review process with the attendees.
본 연구자는 변형률 에너지 기반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피복관의 균열 예측을 주제로 논문을 투고한 바 있음. 해당 논문은 5명의 리뷰어로부터 총 29개의 논평을 받았음. 현재 답변을 작성하고 있으며, 다양한 관점에서 제기된 다수의 의견들로 인해 답변 작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본 세미나는 심사 결과에 대한 소개와 함께, 각 논평에 대한 답변 정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이를 통해 참석자들에게 논문 심사 과정에서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함.
2024.09.13
(최준원) 격자 모델 기반 최적설계 지그 자동화 프로그램: 제약 조건에 따른 결과 비교
Grid Model-Based Optimal Design Jig Automation Program Algorithms: Comparison of results according to constraints
격자 모델 기반 최적설계 지그 자동화 프로그램: 제약 조건에 따른 결과 비교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최준원
With the increasing size of automotive lamps, the mass of lamp testing jigs is also rising to meet the target natural frequency. As a result, the movement and installation of the jigs have become more difficult, and the complexity of the testing process has increased. Until now, jig design has primarily relied on the intuition and experience of the designer, which has limited the design scope and outcomes.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need to move away from intuition-based approaches and adopt optimal design methods based on mathematical theory and computational analysis. However, this approach requires expertise in optimal design, engineering programming, and finite element analysis. Consequently, there is a demand for an automated optimal design program that non-experts can easily us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de that builds an automated optimal jig design program, allowing users to utilize the system with ease.
자동차 램프의 대형화에 따라 램프 시험용 지그의 질량 또한 목표 고유진동수를 충족시키기 위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지그의 이동과 설치가 어려워지고, 시험의 난이도 역시 높아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지금까지 지그 설계는 설계자의 직관과 경험에 주로 의존해 왔기 때문에 설계 범위와 결과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설계자의 직관과 경험에서 벗어나, 수학적 이론과 컴퓨터 연산을 기반으로 한 최적 설계 방안을 도입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최적설계, 공학 프로그래밍, 그리고 유한요소해석에 대한 전문 지식이 요구됩니다. 이에 따라 비전문가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자동화된 최적설계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최적설계 기반의 지그 설계 자동화 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한 코드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24.09.06
(김지선) 최적설계 방법 기반 근위대퇴골의 관심 영역 대상 의존 하중 결정: 다양한 다목적 최적설계 알고리즘의
특징 및 향후 응용 계획 소개
Optimization Method-based
Dependent Load Determination
on Region of Interest
for Proximal Femur
: Introduction to various multi-objective algorithm features and future application plans
최적설계 방법 기반 근위대퇴골의 관심 영역 대상 의존 하중 결정
: 다양한 다목적 최적설계 알고리즘의 특징
및 향후 응용 계획 소개
기계공학과 박사후연구원 김지선
Predicting patient-specific loads is essential for providing high-quality medical servic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ehavior and changes in the bone structure of patients. However, the process of prediction is complicated by the need to consider multiple load patterns and the high computational demand required to evaluate adaptability to the entire bone structure. To address these problem, optimization method-based dependent load determination method on region of interest was recently proposed. This method solves the multi-objective function problem by setting the mean and variance of the strain energy distribution in the region of interest as objective functions. However, this problem involves challenges such as trade-offs between objective functions, problem complexity, and the derivation of multiple optimal solution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various multi-objective solution methods to identify the most efficient method. To this end, representative methods for solving multi-objective problems, such as the Weighted Sum Method, Global Criterion Method, and Fractional Method, will be applied. This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medical services by providing precise patient-specific loads.
환자 맞춤형 하중 예측은 환자의 골 구조 거동 및 변화 분석을 통해 고품질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이다. 그러나 다수의 하중 패턴을 고려해야 하는 예측 과정과 골 전체에 대한 적응성을 평가하기 위한 높은 계산량이 문제로 작용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최적설계 기반 관심 영역에 대한 의존 하중 결정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 관심 영역 변형률 에너지 분포의 평균과 분산을 목적 함수로 설정하는 다중목적함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목적 함수 간의 트레이드오프, 문제의 복잡성, 다수의 최적해 도출 등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다중목적함수 해결 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중목적함수 문제를 해결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Weighted sum method, global criterion method, fractional method 등을 적용한다. 이 연구는 정확한 환자 맞춤형 하중을 제공하여 의료 서비스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2024.08.30
(백종혁) 사례 연구에서의 지그 최적설계: 절차 및 비절차
Optimal design of jigs in case studies: procedural and non-procedural
사례 연구에서의 지그 최적설계: 절차 및 비절차
석사과정 백종혁
Currently, we are developing an automated program for optimal design of jigs for vibration testing. For this purpose, we have established the optimal design of jigs as a standardized step-by-step procedure. However, the optimal design results according to the procedure yielded lower performance tha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non-proced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optimal design of jigs through non-procedure. It is expected that new design methods that can be applied to procedures can be presented through non-procedure optimal design.
현재 진동 시험용 지그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그 최적설계를 정형화된 단계적 절차로 수립한 바 있다. 하지만 절차에 따른 최적설계 결과는 비절차를 통한 결과보다 낮은 성능을 도출하였다. 이에따라 비절차를 통한 지그 최적설계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비절차 최적설계를 통해 절차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설계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4.08.23
(이한규) 유한요소해석의 기본 개념과 과정소개
Introduction to basic concepts and process of finite element analysis
유한요소해석의 기본 개념과 과정소개
기계공학과 학사과정 이한규
Finite element analysis is a method of simulating and analyzing a system by applying a numerical technique called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 finite element method is a technique that divides a system into several small finite elements and analyze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element to predict the behavior of the entire system. This technology is used as an essential tool in the engineering field for the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structures. It will be helpful in applying it to future research to derive precise analysis and accurate results. Therefore, this seminar aims to explain in detail the basic concepts and step-by-step processes of finite element analysis.
유한요소해석은 유한요소법이라는 수치적 기법을 적용하여 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하고 해석하는 방법입니다. 유한요소법은 시스템을 여러 개의 작은 유한한 요소로 나누고, 각 요소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전체 시스템의 거동을 예측하는 기법입니다. 이 기술은 공학 분야에서 구조물의 설계 및 성능 평가에 필수적인 도구로 사용됩니다. 이는 추후 진행할 연구에 적용하여 정밀한 분석과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의 기본 개념과 단계별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024.08.23
(김수민) OPIc 의 이해와 전략적 준비 방법
Understanding the OPIc and Strategic Preparation Methods
OPIc 의 이해와 전략적 준비 방법
기계공학과 4학년 김수민
The OPIc is an exam developed to assess English speaking proficiency, and like TOEIC or TOEFL, it can be used as a language qualification for employment, promotion, study abroad, and other purposes. Unlike other language exams, the OPIc allows test-takers to choose the difficulty level and the topics of the questions, making it a more customized evaluation. Since this test is not a written exam like TOEIC but rather an interview-style speaking test, understanding i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preparing effectively is crucial to achieving a high score. Therefore, the goal of this seminar is to introduce the OPIc, explain its features, and discuss effective preparation strategies.
OPIc은 영어 회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시험으로, TOEIC이나 TOEFL처럼 취업, 승진, 유학 등을 위한 어학 성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해당 시험은 응시자가 직접 시험의 난이도와 출제되는 질문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른 어학 시험보다 더욱 맞춤형 평가가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해당 시험은 TOEIC과 같은 필기 시험이 아닌 인터뷰 형식의 말하기 시험이기 때문에, 높은 성적을 얻기 위해서는 시험의 특징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준비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세미나는 OPIc의 소개와 함께, 시험의 특징 및 준비 방법에 대해 발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4.08.23
(배정빈) SCOPUS 논문 심사결과 정리
Summary of the result of the SCOPUS journal
SCOPUS 논문 심사결과 정리
석사과정 배정빈
This researcher has submitted a paper on the structural behavior analysis of strut tower braces under bending and compression according to various body shapes. The paper received seven comments from two reviewers, and responses are currently being prepared. Each reviewer's comments include opinions on interpreting the results from various perspectives, making it difficult to write responses. This seminar aims to introduce the review results and explain in detail the process of organizing responses to each comment. Through this, I hope to share my experience in the paper review process with the participants.
본 연구자는 다양한 몸체 형상에 따른 스트럿 바의 굽힘 및 압축 발생 시 구조적 거동 분석을 주제로 논문을 투고한 바 있음. 해당 논문은 2명의 리뷰어로부터 총 7개의 논평을 받았으며, 현재 답변을 준비하고 있음. 각 리뷰어의 논평은 다양한 관점에서 결과 해석에 대한 의견을 포함하고 있어, 답변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 본 세미나는 심사 결과에 대한 소개와 함께, 각 논평에 대한 답변 정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이를 통해 참석자들에게 논문 심사 과정에서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함.
2024.08.16
(백지아) 진동 및 충격 시험용 지그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중간 발표
Development of an automated program for optimal design
of jigs for vibration and shock testing
진동 및 충격 시험용 지그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중간 발표
석사과정 백지아
We successfully completed a project that maximized the natural frequency avoidance and lightweight performance of the jig through existing optimal design methods. However, since the optimal design process requires specialized knowledge, our partner company faces difficulties applying it to various jig models. To address this issue, an automated design program for jigs is needed. Therefore, this presentation aims to introduce the developed program and share the progress made so far.
기존 최적설계 방법을 통해 지그의 고유진동수 회피 및 경량화 성능을 극대화하는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최적설계 과정은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하기 때문에, 협력 업체들이 다양한 지그 모델에 이를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그의 자동화 설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현재까지의 진행 상황을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4.08.09
(김지선) 진동 및 충격 시험용 지그 최적설계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중간 보고
Development of Automated Program for Optimal Design of Jigs for Vibration
and Impact Testing
: Interim Report
진동 및 충격 시험용 지그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 중간 보고
기계공학과 박사후연구원 김지선
As automobile lamps become larger, the mass of lamp test jigs is also increasing to meet the target natural frequency. This makes moving and installing the jig difficult, thereby increasing the difficulty of the test. Until now, jig design has relied on the designer's intuition and experience, limiting the scope and effectiveness of the desig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optimization method based on mathematical theory and computer operations, moving away from intuition-based approaches. However, this method requires expert knowledge in optimal design, engineering programming, and finite element analysis. Thus, an automated optimal design program that can be easily used by non-experts is neede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de for an automated jig design program based on optimal design principles that users can easily utilize. To this end, th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in two major steps: 1) Setting the target natural frequency and conducting case studies to verify the modules. 2)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the optimal design modules. In this interim presentation, the progress and results of the case studies are reported and analyzed, as well as the outcomes of the preprocessing and main rib optimal design in the module construction step.
자동차 램프의 대형화에 따라 램프 시험용 지그의 질량도 목표 고유진동수 충족시키기 위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그의 이동과 설치가 어려워지고 시험 난이도가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 지그 설계는 설계자의 직관과 경험에 의존해왔기 때문에 설계 고려 범위와 결과가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설계자의 직관과 경험에서 벗어나서 수학적 이론과 컴퓨터 연산을 기반으로 한 최적설계를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방법은 최적설계, 공학 프로그래밍, 유한요소해석에 대한 전문 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비전문가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화된 최적설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최적설계 기반 지그 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코드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단계로 진행된다: 1) 사례 연구를 수행하여 목표 고유 주파수를 선정하고 모듈을 검증한다. 2) 최적의 설계 모듈을 구축하고 구현한다. 이번 중간발표에서는 사례연구의 진행상황과 결과, 그리고 모듈 구축 단계의 전처리 및 메인리브 최적설계 결과를 보고하고 분석한다.
2024.07.26
(이한규) 프레젠테이션 잘하는 법: 자기 평가를 통한 발표 기술 향상
How to Give a Great Presentation:
Improving Presentation Skills through Self-Assessment
프레젠테이션 잘하는 법: 자기 평가를 통한 발표 기술 향상
기계공학과 4학년 이한규
Presentation is the act of presenting and persuading information, plans, and agendas using audio-visual materials, and is an important means of conveying new information or proving the value of research.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effectively convey all the material within a given time, and it is not easy to completely understand new information that the audience does not know. This seminar aims to improve presentation skills by identifying and evaluating the presenter's problems. To this end, we will collect information, analyze the presenter's problems, and find ways to improve them.
프레젠테이션이란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여 정보, 기획, 안건을 제시하고 설득하는 행위로, 새로운 정보를 전달하거나 연구의 가치를 증명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하지만 정해진 시간 내에 모든 자료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청중이 모르는 새로운 정보를 완벽하게 이해시키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본 세미나는 발표자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평가하여 프레젠테이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발표자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할 것입니다.
2024.07.19
(김수민) 진동 시험용 지그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코드 분석
Development of Automated Optimum Design Program for Vibration and Impact Testing Jig
: Code Analysis
진동 시험용 지그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 코드 분석
기계공학과 4학년 김수민
Due to the recent trend of enlarging vehicle lamps, test jigs have also become larger. This results in an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jigs and a decrease in their natural frequency. To address these issues, jigs can be designed using optimization, but this requires specialized knowledge, making it difficult for non-experts to use. Therefore, our laboratory is developing an automated optimization program for jig design, enabling non-experts to easily design jigs through optimization. To support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is program, I will be assisting with code development. Through this seminar, I aim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code developed so far.
최근 차량용 램프의 대형화로 인해 시험용 지그 또한 대형화되고 있음. 이는 지그의 무게를 증가시키고 고유진동수를 감소시킨다는 문제를 발생시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적설계를 사용하여 지그를 설계할 수 있으나, 이는 전문적 지식이 필요하므로 비전문가가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음. 이에, 비전문가도 쉽게 최적설계를 통해 지그를 설계할 수 있도록 연구실에서 지그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음. 성공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코드 개발에 보조로 투입될 예정이며, 이에 본 세미나를 통해 현재까지 작성된 코드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자 함.
2024.07.19
(배정빈) Spring Back 효과를 반영하기 위한 Pre-stress 부과 방법
Pre-stress Application Method to Reflect Spring Back Effect
Spring Back 효과를 반영하기 위한 Pre-stress 부과 방법
석사과정 배정빈
The analysis must minimize experimental values and errors for accurate prediction and efficient improvement design. Currently, in LG, the experimental values and data tendencies are similar, but the difference in quantitative values (natural frequencies) is huge. This error in natural frequency occurs due to differences in stiffness. Because of this, a method is needed to identify missing points in the analysis and apply them to reduce errors with test results. Therefore, this seminar introduces the Spring Back concept to minimize errors in interpretation and explains how to apply it.
해석은 정확한 예측과 효율적인 개선 설계를 위해 실험값과 오차를 최소화 해야함. 현재 LG에서는 실험값과 데이터의 경향은 유사하지만, 정량적인 수치(고유진동수)의 차이가 매우 큰 상황임. 이러한 고유진동수의 오차는 강성의 차이로 인해 발생함. 이로 인해 시험 결과와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해석에서의 누락된 점을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는 방법이 필요함.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해석의 오차를 줄이기 위한 Spring Back 개념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반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함.
2024.07.12
(백종혁) 자동화에 따른 사례연구 의 단계별 변경점
Step-by-step changes in case studies due to automation
자동화에 따른 사례연구 의 단계별 변경점
석사과정 백종혁
As an SL project, I am developing an automated design program for a jig that satisfies the natural frequency. I am trying various methods to complete this optimal design program. The case study is attempting to verify the new method and derive the optimal shape from various lamps. Accordingly, the case study also has changes from the previously explained method. Therefore, in this presentation, I would like to explain the methods currently used in the case study among various methods and share the results.
SL과제로 고유진동수를 만족시키는 지그의 자동화 설계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음. 이런 최적설계 프로그램을 완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시도 하고 있음. 사례 연구는 새로운 방법에 대한 검증과 다양한 램프에서 최적의 형상 도출을 시도하고 있음. 이에 사례연구도 기존 설명했던 방법과 변경점이 존재함.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다양한 방법들 중 사례연구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방법들을 설명하고 그 결과를 공유하고자 함.
2024.07.12
(백지아) SCOPUS 논문 1차 심사결과 정리
Summary of the first results of the
SCOPUS journal
SCOPUS 논문 1차 심사결과 정리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백지아
Fractures are one of the common traumas in daily life and require appropriat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Predicting the exact pattern of fractures enables early diagnosis,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 patient's treatment plan and assessing prognosis. Accordingly, conventional research predicted fracture patterns through various approaches. Therefore, this seminar will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xisting fracture pattern prediction research. Through this, the seminar aims to identify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research method and plans to explore new methods for predicting fracture patterns in the future.
골절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발생하는 외상 중 하나로, 적절한 치료와 재활이 필요하다. 골절의 정확한 패턴을 예측하는 것은 조기 진단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환자의 치료 계획 수립과 예후 평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기존 연구에서는 다양한 접근법을 통해 골절 패턴을 예측하였다. 본 세미나에서는 기존 골절 패턴 예측 연구의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각 연구 방법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향후 골절 패턴 예측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계획하고자 한다.
2024.07.05
(최준원) 진동 시험용 지그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 전처리 단계
Development of Automated Optimum Design Program for Vibration and Impact Testing Jig : Preprocessing steps
진동 시험용 지그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
전처리 단계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최준원
Vehicle lamps, such as forward lighting during night driving and direction indication, play an important role. Vibration and impact tests are essential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lamps. In order to perform these tests, the durability of the test jig that fixes the lamp to the jig must be ensured. However, as vehicles have recently become larger, test jigs have also become larger to ensure durability. This causes difficulties in moving,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the jig. Because of this, design optimization is required to reduce the weight of 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eprocessing module for an automation program that enables optimal design of vibration test jigs.
자동차 램프는 야간운전의 시야확보, 방향지시와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램프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진동 및 충격 시험이 필수적이다. 진동 및 충격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램프를 시험기에 고정하는 시험용 지그의 내구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다만, 최근 자동차의 대형화에 따라 시험용 지그 또한 내구성 확보를 위해 대형화 되었다. 이로 인해 진동 시험용 지그의 제작 및 설치에 있어 어려움이 발생하므로 지그의 경량화를 위한 최적설계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진동 시험용 지그의 최적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자동화 프로그램의 전처리 모듈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2024.06.28
(김지선) 진동 시험용 지그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 전처리 단계
Enhancing Research Quality:
Analyzing Reviewer Feedback and Responses
연구 품질 향상:
리뷰어 피드백 및 응답 분석
기계공학과 박사후연구원 김지선
In the process of submitting a paper, peer review plays a crucial role in ensuring the integrity and quality of research. However, it can be challenging for researchers to analyze reviewer feedback and effectively respond to their comments. Therefore, this seminar systematically analyzes reviewer feedback and corresponding responses to improve research quality, using a recently written response to reviewers as an example. The seminar begins with an overview of the recently submitted paper and provides a detailed analysis of comments from various reviewers. Each comment is addressed with specific responses, highlighting common themes and repetitive questions from reviewers to identify essential areas for improvement. Reflecting on these analyses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future research submissions. Through this seminar, participants will learn how to effectively integrate reviewer feedback to revise their manuscripts, thereby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their papers being published in prestigious journals. Additionally, the seminar offers methods for systematically analyzing feedback and writing effective responses.
논문을 투고하는 과정에서 동료 검토는 연구의 진실성과 품질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연구자들에게는 리뷰어의 피드백을 분석하고 그들의 의견에 효과적으로 답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최근 작성한 논문 답변서를 예시로 하여 연구 품질 향상을 위해 리뷰어 피드백과 이에 대한 응답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본 세비나는 최근에 제출된 논문 개요로 시작하여 여러 리뷰어가 제공한 코멘트를 상세히 분석한다. 각 코멘트에 대한 구체적인 응답을 공유하고, 리뷰어들이 반복적으로 지적하는 공통된 주제와 질문을 강조하여 개선이 필수적인 부분을 판단한다. 이러한 분석을 반영하여 향후 연구 제출물의 품질을 높이는 데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세미나를 통해 리뷰어 피드백을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원고를 수정하는 방법을 배우고, 이를 통해 저명한 저널에 논문이 게재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피드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효과적인 응답을 작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2024.06.27
(이한규) 유한요소해석 기반 축과 키의 구조적 거동 예측 및 수치해와의 비교
Prediction of structural behavior of machine components based on finite element analysis and comparison with numerical solutions
유한요소해석 기반 축과 키의 구조적 거동 예측 및 수치해와의 비교
기계공학과 4학년 이한규
Machine elements are the smallest unit parts that make up a machine and are common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daily life. To use these mechanical elements safely without damage,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ir structural behavior and ensure accurate design. However, predicting structural behavior can be challenging under certain conditions.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FEA), we will predict the deformation and stress of complex structures. Although FEA is reliable, it does not reflect all parts of an object. To compensate for this, the results were reevaluated through comparison with manually calculated analytical solu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structural behavior of the axis based on finite element analysis and compare it with the analytical solution.
기계요소는 기계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 부품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와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된다. 이러한 기계요소를 파손 없이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조적 거동을 예측하고 정확한 설계를 필요로한다. 그러나 특정 조건에서 구조적 거동 예측이 어려울 수 있다. 유한요소 해석을 톻해 복잡한 구조물의 변형과 응력을 예측할것이다. 유한요소 해석법이 신뢰성이 있지만 물체의 모든 부분을 반영하진 못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기로 계산한 해석해와의 결과를 비교를 통해 재 평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한요소해석 기반 축의 구조적 거동 예측 및 해석해와의 비교를 목표로 한다.
2024.06.07
(김수민) 골 미세구조를 고려한 환자맞춤형 인공고관절의 스템 길이 최적화
Optimization of Patient-Specific Artificial Hip Joint Stem Length Considering Bone Microstructure
골 미세구조를 고려한 환자맞춤형 인공고관절의 스템 길이 최적화
기계공학과 4학년 김수민
Total hip arthroplasty is a surgical procedure that involves replacing the damaged bones and joint cartilage with an artificial hip joint. If a stem with low compatibility is implanted into the patient's femur, it can lead to significant bone resorption due to stress shielding. This can cause loosening of the stem and micro-movements, reducing stability. These issues can result in complications such as fractures or dislocations post-surgery.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patient and the stem.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considering the bone micro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artificial hip stem considering different stem lengths and the bone microstructure.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은 손상 받은 뼈와 관절연골을 제거한 후 인공고관절로 대치하는 수술이다. 만약 환자와의 정합성이 낮은 스템을 환자의 대퇴골에 삽입하게 된다면 응력방패 현상으로 인한 골 흡수가 크게 발생하게 된다. 이는 스템의 해리와 미세진동을 유발시키며 안정성을 떨어뜨린다. 이는 수술 후 골절 또는 탈골과 같은 부작용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환자와 스템의 정합성을 높이기 위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골 미세구조를 고려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골 미세구조를 고려하여 인공고관절의 스템 길이별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4.06.07
(백종혁) 진동 및 충격 시험용 지그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Development of an automation program for optimal design of jigs for vibration and shock testing
: Case Study
진동 및 충격 시험용 지그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 사례 연구
석사과정 백종혁
Currently,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to develop programs for vibration and impact test jigs. In order to create a successful program, standards that can be applied to each optimal design stage are need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erform it under a certain algorithm so that the jig optimal design conducted in the first year can be used in the program. As such, case studies are essential for generating reference values and algorithms. Therefore, this presentation will present the method and results of a case study conducted on the existing C2 lamp and BY lamp.
현재 진동 및 충격 시험용 지그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여러가지 시도를 하고있다. 성공적인 프로그램 작성을 위해서 각 최적설계 단계에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1차 년도에 진행한 지그 최적설계를 프로그램에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알고리즘 하에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기준 값과 알고리즘 생성을 위해 사례연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발표는 기존 C2 램프 및 BY 램프에서 사례연구를 진행한 방법과, 결과를 발표할 것입니다.
2024.05.31
(배정빈) ANSYS에 외부 파일 불러오기
Import External Files into ANSYS
ANSYS에 외부 파일 불러오기
석사과정 배정빈
Structural analysis involves various processes such as 3D CAD modeling, mesh generation, and the application of boundary conditions. To perform these steps efficiently, various software tools are utilized. It is crucial to successfully import the work performed in each previous stage. The presenter uses Ansys as the analysis software and needs to import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3D CAD models, meshes, and contact conditions to carry out industry-academic projects. This seminar will cover the methods of importing external files into Ansys and the important considerations during this process.
구조 해석은 3D CAD 모델링, 메쉬 생성, 경계 조건 부여 등의 다양한 프로세스를 거쳐야한다. 해당 단계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각 전 단계에서 수행한 작업을 성공적으로 불러오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표자는 해석 소프트웨어로 Ansys를 활용하고 있으며, 산학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3D CAD 모델, 메쉬, 접촉 조건 등의 다양한 정보를 불러와야 한다. 본 세미나에서는 외부 파일을 Ansys로 불러오는 방법과 이 과정에서 주의해야할 점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2024.05.31
(백지아) 골절 패턴 예측을 위한 기존 연구 분석
Analysis of conventional research to predict fracture patterns
골절 패턴 예측을 위한 기존 연구 분석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백지아
Fractures are one of the common traumas in daily life and require appropriat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Predicting the exact pattern of fractures enables early diagnosis,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 patient's treatment plan and assessing prognosis. Accordingly, conventional research predicted fracture patterns through various approaches. Therefore, this seminar will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xisting fracture pattern prediction research. Through this, the seminar aims to identify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research method and plans to explore new methods for predicting fracture patterns in the future.
골절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발생하는 외상 중 하나로, 적절한 치료와 재활이 필요하다. 골절의 정확한 패턴을 예측하는 것은 조기 진단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환자의 치료 계획 수립과 예후 평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기존 연구에서는 다양한 접근법을 통해 골절 패턴을 예측하였다. 본 세미나에서는 기존 골절 패턴 예측 연구의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각 연구 방법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향후 골절 패턴 예측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계획하고자 한다.
2024.05.24
(최준원) 환자 맞춤형 골용 스캐폴드 이식 각도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Scaffold Angle Considering the Implanta-tion Site of the Bone Scaffold
환자 맞춤형 골용 스캐폴드 이식 각도 최적화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최준원
The bone scaffold is an artificial structure designed to support bone tissue growth. An ideal scaffold should provide suitable mechanical properties based on the implantation site and transmit forces evenly to surrounding tissues. However, bones vary in morphology depending on their location and have unique microstructures for each patient. Therefore, the scaffold implantation angle should be tailored to each patient for successful implantation. This study aimed to optimize the scaffold implantation angle considering the specific anatomical location. Bone scaffolds were constructed as clinically relevant models. These models were then implanted in various regions of the two-dimensional proximal femur, and angle optimization was performed for each reg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each region required different implantation angles to mimic the load transfer properties of the local bone microstructure.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of personal-ized scaffold design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bone regeneration therapies.
골용 스캐폴드는 뼈 조직 성장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인공 구조물입니다. 이상적인 골용 스캐폴드는 이식 부위에 따라 적절한 기계적 특성을 제공하고 힘을 주변 조직에 고르게 전달해야 합니다. 그러나 뼈는 위치에 따라 형태가 다르며 환자마다 고유한 미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성공적인 이식을 위해서는 골용 스캐폴드 이식 각도를 환자 개개인에 맞게 조정해야 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해부학적 위치를 고려하여 스캐폴드 이식 각도를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임상에서 주로 사용되는 골용 스캐폴드 모델을 생성하였습니다. 그런 다음 이러한 모델을 2차원 근위 대퇴골의 다양한 영역에 이식하고 각 영역에 대해 각도 최적화를 수행했습니다. 결과는 각 영역이 국소 뼈 미세 구조의 하중 전달 특성을 모방하기 위해 서로 다른 이식 각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발견은 뼈 재생 치료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맞춤형 지지체 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2024.05.17
(김지선) 최적설계 방법 기반 근위대퇴골의 관심 영역 대상 의존 하중 결정
Optimization Method-based
Dependent Load Determination
on Region of Interest for Proximal Femur
최적설계 방법 기반 근위대퇴골의 관심 영역 대상 의존 하중 결정
기계공학과 박사후연구원 김지선
The inverse method is a method of predicting a given load from given bone density. This study assumed that the entire bone structure adapts to all applied global loads. However, these methods have a high computational burden as they require the use of multiple loading conditions to consider the load adaptability of the entire bone. One approach to solve this problem is to restrict the analysis area to the region of interest.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d validates a method for determining dependent loads for the region of interest using an optimization method. The optimization method changes design variables to explore the patient-specific load with the maximum load dependency score. The estimated loads are validated by applying localized bone microstructure reconstruction. In conclusion, the proposed method predicts applied loads with high efficiency while maintaining similar accuracy with conventional method. This method is expected to provide a more rapid and accurate diagnosis of osteoporosis by estimating a single dependent load.
역방법(Inverse method)은 주어진 골밀도로부터 주어진 하중을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전체 골구조가 적용된 모든 하중에 적응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연구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전체 뼈의 하중 적응성을 고려하기 위해 여러 하중 조건을 사용해야 하므로 계산 부담이 높습니다. 분석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제한하면 이 문제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최적설계 방법를 이용하여 관심 영역에 대한 의존 하중 결정 방법을 제안하고 검증한다. 최적설계 방법은 설계 변수를 변경하여 최대 하중 의존도 점수를 갖는 환자별 맞춤 하중을 탐색합니다. 추정된 하중은 국소화된 골 미세구조 재건을 적용하여 검증됩니다. 결론적으로 제안된 방법은 유사한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높은 효율성으로 적용된 하중을 예측합니다. 이 방법은 하나의 의존 하중을 추정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골다공증 진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4.05.10
(이한규) 요소에 따른 거동(응력,변형)예측
Prediction of behavior (stress, deformation) according to elements
요소에 따른 거동(응력,변형)예측
기계공학과 4학년 이한규
Structural behavior refers to the phenomenon in which an object exhibits deformation, stress, or displacement in response to external loads or environmental conditions. Accurately predicting this behavior is crucial for evaluating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designs in various fields such as buildings, mechanical parts, and aircraft. To analyze structural behavior, computer simulation software like ANSYS is used. In this study, we aim to compare and analyze the behavior of structures using shell and solid elements in ANSYS software.
구조적 거동은 물체가 외부 하중이나 환경 조건에 따라 변형, 응력, 변위 등을 보이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거동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건축물, 기계 부품, 항공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설계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 역할을합니다. 이러한 구조적 거동을 해석하기 위해 ANSYS와 같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ANSYS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Shell과 Solid 요소에 따른 구조물의 거동을 비교 분석하고자 합니다.
2024.04.26
(백종혁) 진동 시험 지그의 볼트 모델링 방식에 따른 정적 및 동적 거동의 비교 분석 연구
Comparative Analysis Study of Static and Dynamic Behavior According to Bolt Modeling Method of Vibration Test Jig
진동 시험 지그의 볼트 모델링 방식에 따른 정적 및
동적 거동의 비교 분석 연구
석사과정 백종혁
A bolt is a mechanical element that holds and joins two different objects. These bol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ehavior of the structur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dict the behavior of a structure by considering its bolts. However, as the amount of bolt representation increases, the nonlinearity of the preprocessing step and analysis increases, so analysis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solve these problems,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bolt simplification methods. However, these multiple bolt simplification methods are used interchangeabl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present the efficiency and similarity of various bolt simplific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large and small models were created and static and dynamic analysis of the bolt simplification method was performed.
볼트는 서로 다른 두 물체를 조여 결합시키는 기계요소이다. 이러한 볼트는 구조물의 거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구조물에서 볼트를 고려하여 구조물의 거동을 예측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많은 양의 볼트 표현은 전처리 단계와 해석의 비선형성을 증가시켜 해석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볼트 단순화 방법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이런 다수의 볼트 단순화 방법들은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볼트 단순화 방법들의 효율성과 유사성을 비교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소형 및 대형모델을 생성하여 볼트 단순화 방법의 정적 및 동적 해석을 수행했다.
2024.04.26
(김수민) 논문 수정 및 Revision note 작성을 위한 심사 내용 정리
Summarizing Reviewer Comments for Paper Revision and Revision Note Creation
논문 수정 및 Revision note 작성을 위한 심사 내용 정리
기계공학과 4학년 김수민
The presenter recently received a revision decision for a submitted paper. To ensure a successful resubmiss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evaluate the review comments, decide on the revisions to be made, and prepare responses. Therefore, this seminar aims to analyze the review comments before revising the paper and writing the revision note.
본 발표자는 최근 투고한 논문에 대해 재심사 판정을 받았다. 이에 성공적인 재심사를 위해 심사내용을 분석, 평가하여 논문의 수정 사항을 결정하고 답변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세미나는 논문 수정 및 Revision note를 작성하기 전 심사 내용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4.04.26
(배정빈) 십자 형태의 기둥형 지그 최적화 방법론 제시
Proposal of cross-shaped column jig
optimization methodology
십자 형태의 기둥형 지그 최적화 방법론 제시
석사과정 배정빈
Recently, I received a reply from SL that it is possible to create a cross-shaped pillar. A column-shaped jig with a cross-shaped main column has fewer bolts than other jig models. This is expected to result in a small decrease in natural frequency during bolting. Accordingly, it was determined that an optimization study of a jig with a cross-shaped main pillar was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optimize a cross-shaped column jig and present its methodology.
최근 에스엘 측에서 십자 형태의 기둥을 생성 가능하다고 답변 받았다. 주요 기둥이 십자형태인 기둥형 지그는 다른 지그 모델보다 볼트의 개수가 적다. 이는 볼팅 시 고유진동수의 저하가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주요 기둥이 십자 형태인 지그의 최적화 스터디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십자 형태의 기둥형 지그를 최적화하고 이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2024.04.12
(백지아)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이용한 변형률에너지 기반 사용후핵연료 피복관의 균열 경로 분석
Crack path analysis of spent nuclear fuel cladding using strain energy-based Dijkstra algorithm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이용한 변형률에너지 기반 사용후핵연료 피복관의 균열 경로 분석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백지아
CHydride-induced cracks in spent fuel cladding can lead to cladding embrittlement, which has a significant impact on mechanical integrity. Accordingl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edict cracks by applying various algorithms to cladding pipe images. However, the proposed algorithm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produce different results from the same imag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new method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and Dijkstra's algorithm to predict crack paths similar to actual crack paths. The method consists of three steps. First, the cladding image is preprocessed to segment the hydride and cladding regions. Second, hydrides that are vulnerable to external loads are quantified through finite element analysis. Third, the crack path is predicted by applying Dijkstra's algorithm to the quantified information. The proposed method was compared with actual crack paths obtained from ring compression test (RCT).
사용후핵연료 피복관의 수소화물로 인한 균열은 피복관의 취성을 악화시켜 기계적 건전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피복관 이미지에 다양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균열을 예측하는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제안된 알고리즘들은 동일한 이미지에서 서로 상이한 결과를 보이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균열 경로와 유사한 균열 경로를 예측할 수 있는 유한요소해석과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활용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해당 방법은 세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피복관 이미지를 전처리하여 수소화물과 피복관 영역을 분할한다. 둘째,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외부 하중에 대해 취약한 수소화물을 정량화한다. 셋째, 정량화된 정보에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균열 경로를 예측한다. 제안된 방법은 링 압축시험(RCT)에서 얻은 실제 균열 경로와 비교하였다.
2024.04.05
(최준원) 근위 대퇴골의 다중 해상도 영상에서 골용 스캐폴드 이식에 따른 구조적 거동 비교
Comparison of structural behaviors according to scaffold implantation in multi-resolution proximal femur images
근위 대퇴골의 다중 해상도 영상에서 골용 스캐폴드 이식에 따른 구조적 거동 비교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최준원
Bone scaffolds are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in clinical practice as an alternative to autograft and allogeneic transplantati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and porous structures that can provide bone scaffolds with biocompatibility, biodegradability, and mechanical performance is being actively developed. However, many studies are considering the material and porous structure that determine structural rigidity separately. Therefore,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behavior of bone following scaffold implantation by simultaneously considering material and porous structure.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parent elastic modulus of bone scaffolds and the structural behavior of implanted bone scaffolds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bone scaffold, which has an apparent elastic modulus similar to that of normal bone, effectively transmits and supports external loads. However, a different trend was confirmed in transplant locations with low bone density. Additionally, by investigating the behavior surrounding the implantation of bone scaffolds, it was confirmed that the porous structure of bone scaffolds affects mechanical interactions. The approach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sight into the design of bone scaffolds that can depict the anatomical features of normal bone.
골용 스캐폴드는 임상 현장에서 자가 이식 및 동종 이식의 대한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골용 스캐폴드의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기계적 성능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재료와 다공성 구조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많은 연구에서는 구조적 강성을 결정하는 재료와 다공성 구조를 개별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와 달리 재료와 다공성 구조를 동시에 고려하여 지지체 이식에 따른 뼈의 구조적 거동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골용 스캐폴드의 겉보기 탄성 계수와 이식된 골용 스캐폴드의 구조적 거동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정상골과 유사한 겉보기 탄성계수를 가지는 골용 스캐폴드는 외부 하중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지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골 밀도가 낮은 이식 위치에서는 다른 경향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골용 스캐폴드의 이식을 둘러싼 거동을 조사함으로써 골용 스캐폴드의 다공성 구조가 기계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접근 방식은 정상 뼈의 해부학적 특징을 묘사할 수 있는 골용 스캐폴드 설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4.03.29
(김지선) 진동 및 충격 시험용 지그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ed
Optimum Design Program
for Vibration and Impact Testing Jig
진동 및 충격 시험용 지그 최적설계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기계공학과 박사후연구원 김지선
Vehicle lamps, such as forward lighting during night driving and direction indication, play an important role. Vibration and impact tests are essential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lamps. In order to perform these tests, the durability of the test jig that fixes the lamp to the jig must be ensured. However, as vehicles have recently become larger, test jigs have also become larger to ensure durability. This causes difficulties in moving,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the jig. Because of this, design optimization is required to reduce the weight of 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automated program that enables design optimization of vibrational and impact testing jig. This seminar introduces the overall task outline and plan. This research consists of two steps: 1) Case study and 2) Program development for jig design optimization. Additionally, the second step consists of three detailed steps: 1) Preprocessing, 2) Main ribs optimization, and 3) Reinforcing rib optimization.
자동차 램프는 야간운전의 시야확보, 방향지시와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램프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진동 및 충격 시험이 필수적이다. 진동 및 충격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램프를 시험기에 고정하는 시험용 지그의 내구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다만, 최근 자동차의 대형화에 따라 시험용 지그도 내구성 확보를 위해 대형화 되었다. 이로 인해 지그의 운반, 제작, 설치에 있어 어려움이 발생하므로 지그의 경량화를 위한 최적설계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진동 및 충격 시험용 지그의 최적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세미나에서는 전반적인 과제 개요와 계획을 설명한다. 본 연구는 1) 사례연구와 2) 최적의 지그 설계를 위한 프로그램 구축, 두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두번째 단계는 1) 전처리, 2) 주요 리브 최적설계, 3) 보강 리브 최적설계의 세 가지 세부 단계로 구성된다.
2024.03.22
(김수민) 구조해석을 통한 손목 마사지기 모듈의 체결력 개선:연구 소개 및 문제점 고찰
Improving Fastening Force of Wrist Massager Module Using Structural Analysis
: Introduction to the Research and Reflection on the Issues
구조해석을 통한 손목 마사지기 모듈의 체결력 개선
:연구 소개 및 문제점 고찰
기계공학과 4학년 김수민
Wrist massagers available on the market often suffer from a problem where the module casing becomes detached due to daily stress. This issue leads to damage and malfunction of the massager, causing inconvenience to users. In a previous study, structural analysis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fastening strength of wrist massager modules. As a result, a design solution was developed that improved the fastening strength by approximately 11% compared to the previous design. While conducting this study, several shortcomings were identified, indicating the need for reflection and improvement for future research. Therefore, this seminar will present the results of the study on improving the fastening strength of wrist massager modules through structural analysis and discuss areas for improvement in future research.
시중에 판매되는 손목마사지기는 일상 하중에 의해 모듈의 케이스가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마사지기의 파손과 오작동으로 이어져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한다. 이전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조해석을 통한 손목 마사지기 모듈 체결력 개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 대비 약 11%의 체결력이 개선된 모듈의 설계안을 제작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하며 아쉬운 점이 여럿 있었으며 다음 연구를 위해 개선점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세미나는 구조해석을 통한 손목 마사지기 모듈 체결력 개선 연구 결과 발표와 함께 연구의 개선점을 고찰할 것이다.
2024.03.15
(이한규) 공학역학: 정역학의 기본 개념
Engineering Mechanics: Fundamental Concept Statics
공학역학: 정역학의 기본 개념
기계공학과 4학년 이한규
Mechanics is an applied science that describes and predicts the state of motion or static state of an object under the action of forces. It is also physics that deals with the effects of forces acting on objects and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engineering analysis. It has wide applications in engineering, such as safety and strength of machines, robotics, and engine operation. Therefore, if you study mechanics, you can develop your understanding of the motion and force of objects and your technical problem-solving skills. It becomes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through computer analysis. Therefore, this presentation aims to explain the basic concepts of statics based on what we have learned.
역학이란 힘이 작용하고 있는 물체의 운동 상태 또는 정적 상태를 묘사하고 예측하는 응용과학이다. 또한 물체에 작용하는 힘의 영향을 다루는 물리학으로 공학적인 해석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계의 안전 및 강도, 로봇 공학, 엔진의 작동과 같은 공학에서 폭넓게 응용되고 있다. 따라서 역학을 공부한다면 물체의 운동과 힘에 대한 이해와 기술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다. 추후 전산해석을 통한 연구 수행에 기반이 된다. 이에 본 발표에서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역학의 기본 개념에 대해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4.03.15
(백종혁) 논문 작성을 위한 계획과 진행 상황: 볼트 접촉조건
Thesis Writing Plan and Progress
: Bolt Contact Conditions
논문 작성을 위한 계획과 진행 상황
: 볼트 접촉조건
석사과정 백종혁
A thesis must be written to verify the researcher's performance and abilities. Therefore, you'll need to plan properly to write a thesis. Additionally, since this is the first paper written by this presenter, this process is even more important. Therefore, in this presentation, the researcher will prepare and explain the progress of the research on bolt contact conditions and additional plans for writing the paper.
논문은 연구자의 실적과 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작성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논문 작성을 위해서는 적절한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본 발표자가 작성하는 첫 논문이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이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본 연구자가 진행중인 볼트 접족조건에 대한 연구 진행 상황과 논문 작성을 위한 추가적인 계획을 작성하고 설명할 것이다.
2024.03.08
(배정빈) 성공적인 논문 게재를 위한 논문 작성법: 방법론에 대하여
How to write a paper for successful paper publication:
About methodology
성공적인 논문 게재를 위한 논문 작성법: 방법론에 대하여
석사과정 배정빈
This presenter's previously submitted paper was rejected for publication.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analyze the feedback and evaluation received to resubmit the paper successfully. Among these, an in-depth analysis of the feedback on the compressive scenario of the strut tower brace was performed. Therefore, this seminar will share what we have learned about the basic methods of writing a thesis methodology to successfully publish a paper.
본 발표자는 이전에 투고한 논문이 게재 거절 판정을 받았다. 이에 성공적인 논문 재투고를 위해 받은 피드백과 평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이 중 스트럿 바의 압축 시나리오에 대한 피드백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수행했다. 따라서, 본 세미나는 성공적인 논문 게재를 위해 논문 방법론 작성의 기초적인 방법에 대해 학습한 것을 공유할 예정이다.
2024.03.08
(백지아) 변형률 에너지 기반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피복관의 균열 경로 분석
Crack path analysis of spent nuclear fuel cladding using strain energy-based dijkstra algorithm
변형률 에너지 기반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피복관의 균열 경로 분석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백지아
During the process of transporting spent nuclear fuel for long-term storage, various loads occur on the nuclear fuel rods. In particular, pinch load is greatly affected by the radial hydride present in the cladding, which may cause cracks in the cladding. To solve this problem, previous research used cladding images to predict the location of crack occurrence. However, due to a lack of data on the location of cracks in the actual cladding pipe, the accuracy of the research results could not be secur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RCT simulation results with the predicted crack locations.
사용후핵연료는 장기 저장을 위해 운반되는 과정에서 핵연료봉에 다양한 하중이 발생한다. 특히 핀치하중의 경우 피복관에 존재하는 반경방향 수소화물에 따라 큰 영향을 받으며, 이로 인해 피복관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전 연구에서는 피복관 이미지를 이용하여 균열 발생 위치를 예측하였다. 그러나 실제 피복관에서의 균열 위치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연구 결과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CT 시뮬레이션 결과와 예측한 균열 위치와 결과를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4.02.28
(김지선) 최적설계를 이용한 관심 영역에 대한 환자 맞춤형 지배적 하중 탐색법:저해상도 영상을 대상으로 한 분포하중 생성 코드
Patient-specific Dominant Load
Search Method
for Region of Interest Using Optimization
: Distributed load generation code for low-resolution images
generation and load dependency analysis method
최적설계를 이용한 관심 영역에 대한 환자
맞춤형 지배적 하중 탐색법
:저해상도 영상을 대상으로 한 분포하중 생성 코드
기계공학과 박사후연구원 김지선
The inverse method is a method of predicting a given load from given bone density. This study assumed that the entire bone structure adapts to all applied global loads. However, these methods have a high computational burden as they require the use of multiple loading conditions to consider the load adaptability of the entire bone. One approach to solve this problem is to restrict the analysis area to the region of interest.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d validates a method for determining dependent loads for the region of interest using an optimization method. The optimization method changes design variables to explore the patient-specific load with the maximum load dependency score. The estimated loads are validated by applying localized bone microstructure reconstruction. In conclusion, the proposed method predicts applied loads with high efficiency while maintaining similar accuracy with conventional method. This method is expected to provide a more rapid and accurate diagnosis of osteoporosis by estimating a single dependent load.
역방법(Inverse method)은 주어진 골밀도로부터 주어진 하중을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전체 골구조가 적용된 모든 하중에 적응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연구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전체 뼈의 하중 적응성을 고려하기 위해 여러 하중 조건을 사용해야 하므로 계산 부담이 높습니다. 분석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제한하면 이 문제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최적설계 방법를 이용하여 관심 영역에 대한 의존 하중 결정 방법을 제안하고 검증한다. 최적설계 방법은 설계 변수를 변경하여 최대 하중 의존도 점수를 갖는 환자별 맞춤 하중을 탐색합니다. 추정된 하중은 국소화된 골 미세구조 재건을 적용하여 검증됩니다. 결론적으로 제안된 방법은 유사한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높은 효율성으로 적용된 하중을 예측합니다. 이 방법은 하나의 의존 하중을 추정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골다공증 진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4.02.23
(김수민) 유전 알고리즘을 활용한 최적의 키보드 배열 분석: 이전 연구의 문제점 보완
Analysis of Optimal Keyboard Layout Using Genetic Algorithm
유전 알고리즘을 활용한 최적의 키보드
배열 분석: 이전 연구의 문제점 보완
기계공학과 4학년 김수민
An inefficient keyboard layout increases the keyboard usage time, potentially causing strain on the wrists and muscles, leading to musculoskeletal disorders. As a solution to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develop an efficient layout using genetic algorithms. In previous studies, the Cycle Crossover method was employed for the research, enhancing the convergence of genetic algorithms and reducing execution time. However, a drawback was identified during algorithm execution, where duplicate arrays emerged, diminishing the likelihood of finding a global optimu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issues arising from the Cycle Crossover method.
효율이 부족한 키보드 배열은 키보드 사용 시간을 증가시킨다. 이는 손목과 근육에 부하를 발생시켜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유전 알고리즘을 통해 높은 효율을 가지는 배열을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전 연구에서는 Cycle Crossover 방식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유전 알고리즘의 수렴성을 높이고 수행시간을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알고리즘 진행 중 중복 배열이 등장하며 전역 최적해를 찾는 가능성을 줄이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Cycle Crossover 방식을 사용하여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4.02.08
(이한규) 재료역학 기본 개념 소개 및 예제풀이
Introduction to Basic Concepts of Materials Mechanics and Examples
재료역학 기본 개념 소개 및 예제풀이
기계공학과 학사과정 이한규
Mechanics of materials is a study that analyzes the behavior of deformable bodies under various types of loads in equilibrium. This is used to determine the stress, deformation, and strain rate due to the movement and load of the deformable body and to design it safely. Additionally, in order to evaluate stability,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analyze the behavior of structures such as buildings, bridges, and mechanical parts. In order to accurately analyze the structural behavior of deformable bo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materials mechanics. Therefore, the goal of this presentation is to explain the stress and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load acting on the deformable body and solve problems.
재료역학은 평형 상태에서 여러 가지 형태의 하중을 받고 있는 변형체의 거동을 해석하는 학문이다. 이는 변형체의 움직임과 하중에 따른 응력, 변형, 변형률을 파악하고 안전하게 설계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건축물, 교량, 기계부품과 같은 구조물의 거동을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변형체의 구조적 거동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 재료역학에 대해 공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변형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른 응력과 변형에 대해 설명하고 문제풀이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4.02.08
(배정빈) 논문 재투고를 위한 자기 평가
Self Assessment for Paper Resubmission
논문 재투고를 위한 자기 평가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배정빈
Mechanics of materials is a study that analyzes the behavior of deformable bodies under various types of loads in equilibrium. This is used to determine the stress, deformation, and strain rate due to the movement and load of the deformable body and to design it safely. Additionally, in order to evaluate stability,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analyze the behavior of structures such as buildings, bridges, and mechanical parts. In order to accurately analyze the structural behavior of deformable bo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materials mechanics. Therefore, the goal of this presentation is to explain the stress and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load acting on the deformable body and solve problems.
재료역학은 평형 상태에서 여러 가지 형태의 하중을 받고 있는 변형체의 거동을 해석하는 학문이다. 이는 변형체의 움직임과 하중에 따른 응력, 변형, 변형률을 파악하고 안전하게 설계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건축물, 교량, 기계부품과 같은 구조물의 거동을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변형체의 구조적 거동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 재료역학에 대해 공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변형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른 응력과 변형에 대해 설명하고 문제풀이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4.01.25
(김지선) 최적설계를 이용한 관심 영역에 대한 환자 맞춤형 지배적 하중 탐색법:연구 계획 소개
Patient-specific Dominant Load Search
Method for Region of Interest
Using Optimization
: Introduction of Research Plan
최적설계를 이용한 관심 영역에 대한
환자 맞춤형 지배적 하중 탐색법
:연구 계획 소개
기계공학과 박사 김지선
Bone changes the bone microstructure by adapting to external load conditions. Since these external load varies for each individual, the bone microstructure also differs for each patient. If the external load that causes bone microstructure can be predicted, the direction of change in bone microstructure can be predicted and used to prevent osteoporosis disease. Therefore, this study plans to conduct an optimal design-based bone microstructure-induced load condition exploration method. For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first create various loading conditions and analyze the adaptability of bone microstructure. Therefore, this seminar shows the methodology for developing a local load condition generation code and an optimal design integration algorithm, which is the initial step in researching optimization-based bone microstructure-induced load condition exploration methods. This step consists of three parts: 1) load condition generation algorithm, 2) local load prediction algorithm, and 3) optimal design algorithm.
골은 외부 하중에 적응하여 골 미세구조를 변화한다. 이러한 외부 하중은 개인마다 다르므로 골 미세구조 또한 환자 개인에 따라 상이하다. 만약, 골 미세구조를 유발하는 외부 하중을 예측할 수 있다면, 골 미세구조의 변화 방향을 예측하여 골다공증성 질병 예방에 사용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최적설계 기반 골 미세구조 유발 하중 조건 탐색법을 수행할 예정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는 먼저 다양한 하중 조건을 생성하여 골 미세구조의 적응성에 대해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세미나에서는 최적설계 기반 골 미세구조 유발 하중 조건 탐색법 연구를 위한 초기 단계인 하중 조건 생성 코드 및 최적설계 융합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방법론을 설명한다. 이 단계는 세 부분 1) 하중 조건 생성 알고리즘, 2) 국부 하중 예측 알고리즘, 3) 최적설계 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
2024.01.19
(백지아) 피복관 유한요소모델을 이용한 링 압축시험 : 접촉조건 스터디
Ring Compression Test Using Cladding Finite Element Model: Contact Condition Study
피복관 유한요소모델을 이용한 링 압축시험
: 접촉조건 스터디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백지아
Spent nuclear fuel (SNF) is subjected to various loads on nuclear fuel rods during the transportation process for long-term storage. In particular, the pinch load that occurs in SNF causes damage to the cladding as the hydride present in the cladding significantly reduces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refore, we attempted to perform ring compression test (RCT) using a computational model to study the mechanical behavior of hydride-containing cladding. However, despite several attempts to apply the contact conditions between the compression plate and the cladding in the finite element model, errors occurred. Accordingly, this study explains the methods attempted to apply contact conditions.
사용 후 핵 연료는 장기 저장을 위한 운반 과정에서 핵연료봉에 다양한 하중을 받게 된다. 특히, 핀치 하중이 가해질 경우 피복관 내의 수소화물이 기계적 물성을 크게 저하시키며, 이로 인해 피복관에 파손이 발생한다. 따라서 수소화물을 사용한 피복관의 기계적 거동에 대해 연구하고자 전산모델을 통한 링압축시험(RCT)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다만, 유한요소모델에서 압축판과 피복관의 접촉조건을 적용하기 위한 여러 시도에도 불구하고 오류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접촉조건 적용을 위해 시도했던 방법들에 대해 설명한다.
2024.01.19
(최준원) 박사 학위 취득을 위한 연구 및 논문 계획
Research and Paper Plan for
Achieving a Doctoral Degree
박사 학위 취득을 위한 연구 및 논문 계획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최준원
A doctorate is the highest degree awarded by a university to an individual with specific abilities or accomplishments, typically for the purpose of academic research and advancement or as an expert in a particular field. Attaining a doctoral degree requires the capability to independently conduct research in a specialized area of study. Thus, the presenter intends to become an autonomous researcher and outline their research and thesis plans to achieve a doctoral degree. Regarding the research aspect, the presenter will expound on the content and supporting evidence for the research they aim to undertake upon entering the doctoral program. Furthermore, there is a plan to jointly present the research plan and thesis plan. By formulating and executing a well-structured plan for both the thesis and research, it is anticipated that the presenter will be able to establish themselves as an independent researcher and successfully obtain a doctoral degree within a relatively short timeframe
박사란 학문 연구와 학술 진흥을 위하여 일정한 능력을 갖춘 자 또는 업적이 있는 자에 대해 대학이 수여하는 최고의 학위 또는 특정 분야의 전문가이다. 박사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특정 연구 분야에 대해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본 발표자는 독립적인 연구자가 되어 박사 학위를 취득하기 위한 연구 및 논문 계획에 대해서 발표할 계획이다. 연구로는 본 발표자가 박사 과정 진학 후 수행하고 싶은 연구 내용과 근거에 대해 발표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연구 계획과 논문 계획에 대해 함께 발표할 계획입니다. 따라서 잘 구축된 계획을 기반으로 논문 작성 및 연구를 수행한다면, 빠른 시간 내 독립적인 연구자가 되어 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024.01.12
(김수민) 구조해석을 통한 손목 마사지기 모듈의 개선
Improbing Fastening Force of Wrist Massager Module Using Structural Analysis
구조해석을 통한 손목 마사지기 모듈의 개선
기계공학과 3학년 김수민
As the usage time of computers and smart devices increases among modern individual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arpal tunnel syndrome and tenosynovitis is on the rise. Given that treating these syndromes requires high costs and significant time, prevention becomes crucial. Wrist massagers have gained attention as a preventive measure for these syndromes by enabling continuous management of the muscles and nerves in the wrist. However, commercially available wrist massagers often suffer from the drawback of easy detachment under daily load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wrist massager module using structural analysis techniques.
현대인들의 컴퓨터와 스마트기기 사용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손목터널증후군과 건초염의 수진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높은 비용과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에 증후군의 예방이 중요하다. 손목 마사지기는 손목의 근육과 신경의 지속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해당 증후군의 예방책으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손목 마사지기는 일상하중에 쉽게 분리가 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조해석을 사용하여 손목 마사지기 모듈의 체결력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3.12.29
(백종혁) 새로운 C2헤드램프 진동시험용 지그 모델의 볼트체결 결과 검증
Verification of Bolt Fastening Results of New C2 Headlamp Vibration Test Jig Model
새로운 C2헤드램프 진동시험용 지그 모델의 볼트체결 결과 검증
기계공학과 4학년 백종혁
Through previous research, a jig with improved natural frequency and lighter weight was completed. However, in the vibration test, a problem occurred in that the binding position below the headlamp was impossible when binding the vibration tester and the jig.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nduct research considering the binding position of the jig and vibration teste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mplete a new model through adjustment of the lower plate and improvement of the ribs.
앞선 연구를 통하여 개선된 고유진동수와 경량화를 진행한 지그를 완성한 바 있다. 하지만 진동 시험에 있어 진동시험기와 지그의 결속에서 헤드램프의 아래에 있는 결속 위치는 결속이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발생 하였다. 따라서 지그와 진동 시험기의 결속 위치를 고려한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부 플레이트의 조정과 리브의 개선을 통한 새로운 모델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3.12.22